ReactiveX

vvvvvoin·2021년 2월 4일
0

kotlin

목록 보기
1/1
post-custom-banner

ReactiveX

  • Reactive Prgram은 Observer, Iterator, Functional Programming을 결합한 비동기 프로그래밍이다.

  • 일반적인 명령형 프로그램이 아닌 데이터의 흐름을 먼저 정의하고 데이터가 변경되었을 때 연관되는 연산자를 통해 처리되는 방식을 Reaxtive Programming이라고 한다.

  • 즉 필요에 의해 데이터를 요청하여 가공하는 것(절차형)이 아닌, 데이터를 관리주체하는 Observable에 데이터 변경시 요청을 받을 수 있도록 subscribe하여 변경사항을 전달하는 방식이다.

  • 데이터의 흐름, 스트림을 만드는 Observable

    • 스트림을 만드는 일을 누가 할것인지 지정하는 subscribeOn
  • 흐름, 스트림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Subscribe

    • 스트림에서 데이터를 누가 할 것인지 지정하는 observeOn
  • Obserable은 데이터를 제공하는 생산자의 역할을 하여 3가지의 행동을 한다.

    • onNext - 새로운 데이터를 전달
    • onCompleted - 스트림의 종료
    • onError - 에러 신호를 전달

환경

작업툴

  • IntelliJ IDEA Community Edition 2020.3 x64

dependency

implementation ("io.reactivex.rxjava3:rxjava:3.0.9");
implementation ("io.reactivex.rxjava3:rxkotlin:3.0.1");

Observable

  • 이벤트 발행하는 주체
  • Type
    • Observable - 최상위 기본타입
    • Single - 1개의 데이터만 반환 (null 반환시 예외 발생)
      • just를 사용하면 데이터를 1개만을 입력할 수 있다
    • Maybe - Null 가능성이 있는 1개의 데이터 반환 + Single
    • Completable - 반환값 없이 처리 후 종료
    • Flowable - Backpressure 지원, Observable의 발행과 구독의 속도차이를 조절
Observable
	.just("a", "b", "c", "d", "e")			//Observable 내부에 값을 순서대로 전달
	.subscribe { 							//5번의 onNext로 전달됨
		println(it) 						//Observable, 스트림으로 부터 데이터를 subsribe하여 출력
	}

just는 매개변수 순서에 맟춰서 데이터를 발행한다.

  • subscribe는 발행된 데이터를 처리하는 로직이 작성된다.

  • subscribe는 다음과 같이 오버로딩되어 있다

public final void subscribe(@NonNull Observer<? super T> observer)
public final Disposable subscribe(@NonNull Consumer<? super T> onNext)
public final Disposable subscribe(@NonNull Consumer<? super T> onNext, @NonNull Consumer<? super Throwable> onError)
public final Disposable subscribe(@NonNull Consumer<? super T> onNext, @NonNull Consumer<? super Throwable> onError,
            @NonNull Action onComplete) 
  • 각 상황에 맞게 데이터를 처리, 에러처리, 완료 후 처리를 정의할 수 있다.

ActionRunnable과 같이 매개변수가 없고 반환타입도 없다.

실행 메서드도 run()인 함수형 인터페이스이다.

Observable 구독

Subscribe 신청

  • subscribe 메서드를 이용하여 발생된 데이터를 구독할 수 있다.

  • 구독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존재한다.

    1. Observer 객체를 생성

    2. 객체가 아닌 사용자가 필요한 함수형 인터페이스만을 지정

1. Observer 객체를 생성
  • Observable 주요 콜벡 메서드
    • onSubScribe(d : Disposable) : 구독을 신청하면 처음 호출됨
    • onNext(item : T) : 값을 발행할 때 호출하여 값을 넘겨줌
    • onError(e : Throwable) : Observable에서 에러 발생시 호출
    • onComplete() : 모든 값이 발행하면 호출
  • 메서드를 오버라이딩하는 작성하는 번거로움이 있지만 재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val observer :Observer<String> = object : Observer<String> {
	override fun onSubscribe(d: Disposable?) {
		println("onSubscribe")
	}
	override fun onNext(t: String?) {
		println("onNext = ${t}")
	}
	override fun onError(e: Throwable?) {
		println("onError = ${e}")
	}
	override fun onComplete() {
		println("onComplete")
	}
}
Observable.just("a", "b", "c", "d", "e").subscribe(observer)
//결과
//onSubscribe
//onNext = a
//onNext = b
//onNext = c
//onNext = d
//onNext = e
//onComplete
2. 함수형 인터페이스 지정
  • Observable클래스에는 subscribe 메서드과 다음과 같이 오버로딩되어 있다.
public final void subscribe(@NonNull Observer<? super T> observer)	//Observer 객체를 생성해서 구독하는 방법
public final Disposable subscribe(@NonNull Consumer<? super T> onNext)
public final Disposable subscribe(@NonNull Consumer<? super T> onNext, @NonNull Consumer<? super Throwable> onError)
public final Disposable subscribe(@NonNull Consumer<? super T> onNext, @NonNull Consumer<? super Throwable> onError,
            @NonNull Action onComplete) 
Observable.just("a", "b", "c", "d", "e")
	.subscribe ({
		println("onNext")
	},{
		println("onError")
	},{
		println("onComplete")
	})

Subscribe 해지

  • 구독해지에는 몇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 구독시 observer객체를 넣어 해당 객체에 Disposable과 관련된 로직을 정의한다.

  • Disposabledispose()를 이용하면 구독이 해지된다.

1. Observer 객체를 이용한 구독해지
  • observer객체 내부에 Disposable타입 객체를 선언하고
  • end데이터가 삽입되면 구독해지 되도록 설정하였다.
val observer: Observer<String> = object : Observer<String> {
    lateinit var disposable : Disposable                    
    override fun onSubscribe(d: Disposable?) {              
        println("onSubscribe")                              
        if (d != null) {                                    
            disposable = d                                  
        }                                                   
    }                                                       
    override fun onNext(t: String?) {                       
        if(t == "end"){                                     
            disposable.dispose()                            
            println("subscribe dispose")                    
        }                                                   
        println("onNext = ${t}")                            
    }                                                       
    override fun onError(e: Throwable?) { }                 
    override fun onComplete() { }                           
}

Observable.just("a", "b", "c", "d", "end", "e")
    .subscribe(observer)
//결과
//onSubscribe
//onNext = a
//onNext = b
//onNext = c
//onNext = d
//subscribe dispose
//e가 출력되지 않음
2. Disposable 객체를 이용한 구독해지
  • subscribe한 후 disposable타입의 객체를 dispose해준다
val disposable = Observable.interval(100, TimeUnit.MILLISECONDS)
    .subscribe {                                                 
        println("onNext = ${it}")                               
    }                                                           
Thread.sleep(2000)                                              
disposable.dispose()                                            
println("main end")
//결과
//...
//onNext = 17
//onNext = 18
//main end
3. CompositeDisposable
  • CompositeDisposable 객체를 생성하여 add() 메서드를 이용해 다수의 disposable객체를 담아 한번에 해지할 수도 있다.
  • 내부적으로 OpenHashSet으로 disposable객체를 담고 있다.
val compositeDisposable= CompositeDisposable()
val disposable = Observable.interval(100, TimeUnit.MILLISECONDS)
    .subscribe {
        println("onNext = ${it}")
    }
compositeDisposable.add(disposable)
Thread.sleep(2000)
compositeDisposable.clear()
Thread.sleep(2000)
println("main end")
//결과
//...
//onNext = 17
//onNext = 18
//main end

Observable 생성 메서드

Create

  • just()는 선언 요소들을 순서대로 발행하지만 create는 직접 onNext를 호출하여 발행해야한다.
Observable.create<Int>{	//it:ObservableEmitter<Int!>!
	it.onNext(10)	//값을 발행
	it.onNext(20)
	it.onNext(30)
	it.onComplete()	//발행 종료
}.subscribe({
	println(it)
},{
	println(it)
})
  • ObservableEmitter는 onNext, onError, onComplete를 의미함

Just

  • 받은 인자를 차례대로 순서에 맟춰서 발행하는 Observable을 생성
  • 최대 10개까지 입력을 받을 수 있음
Observable.just("a", 1, "string", 10.5)
	.subscribe({
		println(it)
	},{
		println(it)
})

Range

  • 주어진 n지점부터 m 번까지 카운트한 Integer타입 데이터를 발행
Observable
	.range(5, 10)
	.subscribe({
		println(it)
	},{
		println(it)
})
  • m번까지 출력이 아닌 m번카운트 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지막 데이터는 14가 된다.(그림참고)

Empty, Never, Throw

  • Empty는 데이터가 없는 Observable
  • Never은 데이터가 없고 발행의 끝이 없는 Observable
  • Throw는 데이터가 없고 에러로써 발행이 종료되는 Observable

Interval

  • 지정된 시간 간격에 따라 정수값을 발행하는 Observable
  • 해당 Observable은 무한하게 오름차순으로 정수를 발행한다.
Observable.interval(100, TimeUnit.MILLISECONDS)
	.take(5)	//5개 까지만 발행
	.subscribe({
			println(it)
	}, {
			println(it)
	})
//출력은 0, 1, 2, 3, 4
  • 정수는 0부터 시작되고 타입은 Integer

Hot, Cold Observable

  • Observable은 구독을 신청하면 데이터의 순서에 맞게 데이터를 발행해준다.
  • 여러번 subscribe를 해도 처음 순서대로 동일한 데이터를 보내주는 방식을 Cold Observable이라 한다.
    • web 요청, DB 요청
  • 반변에 데이터의 발행 시점이 구독시점이 아니여서 이전에 발행된 데이터를 받지 못하는 방식이 Hot Observable이다.
    • 센서값
    • 강물과 같이 이미 흘러간 물을 받을 수 없는 것과 같다

ConnectableObservable

  • Hot Observable 중 하나로 connect()메서드를 호출하면 발행을 시작하는 Observable이다.
  • publish()메서드로 기존 Cold ObservableHot Observable이 된다.
val connectableObservable = Observable.interval(100, TimeUnit.MILLISECONDS).publish()
connectableObservable.subscribe { println("1 Observer = ${it}") }
connectableObservable.connect()
Thread.sleep(200)
connectableObservable.subscribe { println("2 Observer = ${it}") }
Thread.sleep(200)
//결과
//1 Observer = 0
//1 Observer = 1
//2 Observer = 1
//1 Observer = 2
//2 Observer = 2
  • connect() 메서드 호출전에 미리 구독한 1 observer은 0부터 데이터를 발행받는다.
  • 하지만 이후에 구독한 2 observer는 1부터 데이터를 받기 시작한다.

Subject

  • Subject는 Oserver와 Observable과 같이 행동하는 프록시다.
  • 왜냐하면 Subject는 Oserver이기 때문에 하나 이상의 Observable을 구독하거나 동시에 Observable이기 때문이다.
  • 또한 하나의 Subject가 둘 이상의 Observable를 구독하면서 Cold Observable를 Hot Observable로 만들기도 한다.
  • Subject는 Observer를 구현한 추상메서드이다.

Subject 종류

AsyncSubject

  • AsyncSubject는 Observable로 부터 발행된 마지막 값을 발행하고 Observable의 동작이 완료된 후 동작한다.
  • 또한 마지막 값이 에러가 발생된다면 observer는 아무 데이터도 발행받지 못하고 오류를 그대로 전달한다.
val observable = Observable.range(1, 10)	//1부터 10번 카운트하여 정수값을 발행
val asyncSubject = AsyncSubject.create<Int>()

observable.subscribe(asyncSubject)	//Subject는 Observer를 구현한 추상메서드라서 Observer타입의 매개변수가 될 수 있다.
                                                        
asyncSubject.subscribe { println("1 observer = ${it}") }
Thread.sleep(1000)
asyncSubject.subscribe { println("2 observer = ${it}") }
//결과
//1 observer = 10
//2 observer = 10

BehaviorSubject

  • observer가 BehaviorSubject를 구독하기 시작하면 Observable이 가장 최근에 발행한 항목의 발행을 시작한다.
  • 만약 아직 아무것도 발행하지 않았으면 기본값을 발행 후 이후에 발행된 데이터를 처리한다.

1번째 observer가 구독할 시점에는 발행된 데이터가 없어서 기본 데이터 발행

2번째 observer가 구독할 시점에 최신 데이터는 녹색이므로 녹색 데이터가 발행됨

  • 오류 때문에 종료된다면 이후 구독하는 observer는 아무런 데이터를 받지 못하고 발생된 오류를 받는다.
val behaviorSubject = BehaviorSubject.createDefault(0)
behaviorSubject.subscribe { println("1 observer = ${it}") }
behaviorSubject.onNext(100)
behaviorSubject.onNext(200)

behaviorSubject.subscribe { println("2 observer = ${it}") }
behaviorSubject.onNext(300)
behaviorSubject.onNext(400)
//결과
//1 observer = 0	//구독시점에서 발행된 데이터가 없어서 기본값을 받음
//1 observer = 100
//1 observer = 200
//2 observer = 200
//1 observer = 300
//2 observer = 300
//1 observer = 400
//2 observer = 400

PublishSubject

  • PublishSubject는 구독 이후에 발행된 데이터만 발행한다.
  • PublishSubject는 생성시점에서 즉시 데이터를 발행하는 특성이 있기 때문에 생성시점에서 observer가 해당 subject를 구독하기 시작하는 사이에 데이터를 발행할 수 있다.
  • 그렇기 때문에 Observable이 발행하는 모든 데이터를 보장받기 위해서는 Create메서드를 이용하여 명시적인 Cold Observable로 생성해야 한다.
  • 혹은 ReplaySubject를 사용해야 한다.
val observable = Observable.interval(100, TimeUnit.MILLISECONDS)
val publishSubject = PublishSubject.create<Long>()
observable.subscribe(publishSubject)
publishSubject.subscribe { println("1 observer = ${it}") }
Thread.sleep(200)
publishSubject.subscribe { println("2 observer = ${it}") }
Thread.sleep(200)
//결과
//1 observer = 0
//1 observer = 1
//1 observer = 2
//2 observer = 2
//1 observer = 3
//2 observer = 3

ReplaySubject

  • ReplaySubject는 Observer가 구독을 시작한 시점과 관계 없이 이전에 배출된 모든 데이터를 observer에게 발행한다.
  • ReplaySubject의 생성자 오버로드를 통해 버퍼의 크기가 특정 이상으로 증가할 경우 처음 발행된 데이터를 지정된 시간이후 삭제하게 된다.
  • ReplaySubject를 Observer로 사용할 경우 멀티스레드 환경에서는 비순차적 호출을 유할시키는 메서드는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한다.

[Observable 계약](ReactiveX - The Observable Contract)

val replaySubject = ReplaySubject.interval(200, TimeUnit.MILLISECONDS)
replaySubject.subscribe { println("1 observer = ${it}") }
Thread.sleep(500)
replaySubject.subscribe { println("2 observer = ${it}") }
Thread.sleep(500)
//결과
//1 observer = 0
//1 observer = 1
//1 observer = 2
//2 observer = 0
//1 observer = 3
//2 observer = 1

Operator

  • Operator는 Java8에 추가된 람다와 스트림에서 사용되는 중간연산, 최종연산과 같은 역할을 수행한다.
  • Operator에는 생성, 변환, 필터, 결합, 에러, 유틸, 상태, 연산과 관련된 메서드들이 정의되어 있다.

생성

  • 생성 operator는 Observable을 생성하는 create, empty, interval, just, range등이 존재한다.

변환 & 필터

Filter

  • Filter는 Observable에서 발행하는 데이터를 조건식으로 구분한다.
Observable.just(1,2,3,4,5,6,7,8,9)
    .filter { it -> it % 2 == 0 }	//짝수 값만을 필터링
    .subscribe {
        println("onNext = ${it}")
    }
//결과
//onNext = 2
//onNext = 4
//onNext = 6
//onNext = 8

filter는 Predicate 함수형 인터페이스로 입력값 하나, boolean값을 리턴한다

Distinct

  • 발행되는 데이터가 중복되지 않게 한다.
Observable.just(1,2,3,1,2,3,4)     
    .distinct()                    
    .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1
//2
//3
//4

First, Last

  • First와 Last는 발행된 데이터의 첫번째와 마지막 값을 받는 필터링 operator이다
  • 해당 메서드를 사용하는데 있어 조건에 만족시키는 값이 없을 수 있으므로 default값을 넣어야 한다.
  • 또한 발행된 값이 하나가 나오는 것을 보장하기에 해당 Ovservable은 Single이 된다.
Observable.just(1,2,3,4,5,6,7,8,9)
    .filter { it -> it % 2 == 0 }
    .first(0)
    .subscribe({
        println("onSuccess = ${it}"
    },{
        println("onError = ${it}")
    })
//결과
//onSuccess = 2

해당 subscribe는 public final Disposable subscribe(@NonNull Consumer<? super T> onSuccess, @NonNull Consumer<? super Throwable> onError)로 정의되어 있다.

  • 또한 single의 subscribe에는 다음 오버로딩 메서드가 존재한다.
public final Disposable subscribe(@NonNull Consumer<? super T> onSuccess)
public final Disposable subscribe(@NonNull BiConsumer<? super T, ? super Throwable> onCallback)
  • subscribe의 매개변수가 하나이기 때문에 람다식으로 사용하게 될 경우 명시적으로 함수형 인터페이스의 매개변수를 지정해줘야 한다.

Take, Skip

  • Take(N)는 Observable에서 발행된 N개의 값만을 발행
    • TakeLast(N)는 Observable에서 마지막 N개의 값만을 발행
  • Skip(N)은 Observable에서 발행된 최초 N개를 제외하고 발행
    • SkipLast(N)은 Observable에서 발행된 마지막 N개를 제외하고 발행
Observable.just(1, 2, 3, 4, 5, 6, 7, 8, 9)
    .filter { it % 2 == 0 }
    .take(2)
    .subscribe { it
        println("onNext = ${it}")
    }
//결과
//onNext = 2
//onNext = 4

Map

  • 발행된 각 항목에 함수를 적용시켜 변환하는 메서드
Observable.just(1,2, 3, 4, 5)
    .map { it -> it * 10}
    .subscribe { 
        println("onNext = ${it}")
    }
//결과
//onNext = 10
//onNext = 20
//onNext = 30
//onNext = 40
//onNext = 50

FlatMap, ConcatMap

  • FlatMap은 Observable에서 발행된 항목을을 다시 새로운 Single Observable로 항목들을 발행하게 된다.
  • 새로운 Single Observable로 발행된 데이터들은 순서를 보장받지 못한다.
Observable.just("1","2","3","4","5")
    .flatMap { value: String ->
        Observable.interval(200, TimeUnit.MILLISECONDS)
            .map { cnt: Long -> "$value nowCnt =  $cnt" }
            .take(2)
    }
    .subscribe {
        println("onNext = ${it}")
    }
//결과
//onNext = 3 nowCnt =  0
//onNext = 1 nowCnt =  0
//onNext = 2 nowCnt =  0
//onNext = 4 nowCnt =  0
//onNext = 5 nowCnt =  0
//onNext = 1 nowCnt =  1
//onNext = 2 nowCnt =  1
//onNext = 3 nowCnt =  1
//onNext = 4 nowCnt =  1
//onNext = 5 nowCnt =  1
  • flatMap내부에 새로운 Observable을 이용하여 200ms주기 마다 정수를 발행하는 값을 value에 붙였다.
  • 또한 출력 결과는 순서를 보장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 대신 concatMap을 사용하여 순서를 보장할 수 있지만 성능은 flatMap에 비해 떨어진다.
  • 또한 concatMap에 여러 Observable이 사용되면 다음과 같이 병합되지 않고 연결된다.

Debounce

  • 특정시간 범위에서의 항목을 방출하지 않고 범위를 경과한 값을 방행한다.
Observable.interval(105, TimeUnit.MILLISECONDS)
    .take(5)
    .debounce(100, TimeUnit.MILLISECONDS)
    .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매번바뀜)
//1
//3
//4
  • 105ms간격마다 데이터를 입력하고 발행 시점에서 100ms가 지나면 해당값을 출력하게 된다.
  • 5ms의 미세한 오차를 두어 몇몇 데이터가 출력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 이를 안드로이드에서 키보드 입력을 받을때 매번 새로운 입력이 들어올때마다 로직을 수행하는 것이아닌 debounce를 사용해 키보드 입력이 끝난 몇 ms후 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

Scan

  • Scan은 순차적으로 함수를 적용하여 연속적으로 값을 방출한다.
  • Java Stream의 Reduce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데 Scan은 순차적으로 처리된 값을 출력해준다.
Observable.just("a","b","c","d","e")
    .scan { now, next ->            
        "${now} -> ${next}"         
    }                               
    .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a
//a -> b
//a -> b -> c
//a -> b -> c -> d
//a -> b -> c -> d -> e
  • 순차적으로 발행된 값이 처리되는 과정을 알 수 있게 된다.

연산

Reduce

  • 발행된 모든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함수에 적용하고 최종값 하나를 발행한다.
Observable.just("a","b","c","d","e")
    .reduce { now, next ->
        "${now} -> ${next}"
    }
    .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a -> b -> c -> d -> e
  • Scan과 다르게 한번에 출력만을 보여준다.

Concat

  • 두 개 이상의 Observable을 발행되는 데이터를 중간에 섞이지 않고 순차적으로 발행시킨다.
val observable1 = Observable.interval(0, 100, TimeUnit.MILLISECONDS)
    .map { "observable1 = $it" }
    .take(5)

val observable2 = Observable.interval(0, 200, TimeUnit.MILLISECONDS)
    .map { "observable2 = $it" }
    .take(5)

Observable.concat(observable1, observable2)
    .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observable1 = 0
//observable1 = 1
//observable1 = 2
//observable1 = 3
//observable1 = 4
//observable2 = 0
//observable2 = 1
//observable2 = 2
//observable2 = 3
//observable2 = 4

결합

Zip

  • 지정된 기능을 통해 최소2개, 최대9개 Observable을 결합하여 순차적인 결합에 의해 데이터를 발행한다.
val observable1 = Observable.just(1,2,3,4,5,6,7)
val observable2 = Observable.just("a","b","c")

Observable.zip(observable1, observable2, BiFunction { obs1, obs2 ->
    return@BiFunction "$obs1 + $obs2"
}).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1 + a
//2 + b
//3 + c
  • Zip의 특성상 순차적인 결합으로 observable1의 남은 데이터 4,5,6,7은 결합될 observable이 없어 출력되지 않는다.

CombineLatest

  • 두 개의 Observable 중 하나의 데이터가 발행되는 경우 지정된 함수를 통해 각 Observable에서 발행된 최신데이터와 결합하여 이를 발행한다.
val list1 = mutableListOf(1,2,3,4,5,6,7,8,9)
val list2 = mutableListOf("dog","cat","elephant", "human","thanos","deer")

val observable1 = Observable.fromIterable(list1)
    .zipWith(Observable.interval(200, TimeUnit.MILLISECONDS), BiFunction { int, time ->
        return@BiFunction int
    })
val observable2 = Observable.fromIterable(list2)
    .zipWith(Observable.interval(150, 200, TimeUnit.MILLISECONDS), BiFunction { str, time ->
        return@BiFunction str
    })

Observable.combineLatest(observable1, observable2, BiFunction { obs1, obs2 ->
    return@BiFunction "$obs1 + $obs2"
}).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1 + dog
//1 + cat
//2 + cat
//2 + elephant
//3 + elephant
//3 + human
//4 + human
//4 + thanos
//5 + thanos
//5 + deer
//6 + deer
//7 + deer
//8 + deer
//9 + deer
  • observable1이 값을 발행하고 observable2가 150ms 늦게 시작하게 된다.
  • 약간의 차이로 최근에 발행된 값과 함께 출력됨을 알 수 있다.

Merge

  • 여러 Observable를 하나의 발행으로 결합시킨다.
val observable1 = Observable.interval(0, 100, TimeUnit.MILLISECONDS)
    .map { "observable1 = $it" }
    .take(5)

val observable2 = Observable.interval(0, 200, TimeUnit.MILLISECONDS)
    .map { "observable2 = $it" }
    .take(5)

Observable.merge(observable1, observable2)
    .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observable1 = 0
//observable2 = 0
//observable1 = 1
//observable1 = 2
//observable2 = 1
//observable1 = 3
//observable2 = 2
//observable1 = 4
//observable2 = 3
//observable2 = 4

상태 및 boolean

All

  • Observable에서 발행되는 모든 데이터가 조건을 만족시키는 확인
Observable.just("a", "b", "c", "d", "e", 5)
    .all { it is String }
    .subscribe({
        if (it == true) println("all is String type")
        else println("there are another type")
    }, {
        println("error")
    })
//결과
//there are another type
  • all의 매개변수는 Predicate이므로 결과가 boolean타입으로 반환되고 이는 1개의 값만을 발행하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에 Single을 반환한다.

Amb

  • 둘 이상의 Observable이 주어지면 그 중 첫 번째로 발행된 Observable만을 발행한다.
val observable1 = Observable.interval(100, TimeUnit.MILLISECONDS).take(3).map { "observable1 = $it" }
val observable2 = Observable.interval(50, TimeUnit.MILLISECONDS).take(3).map { "observable2 = $it" }
val observable3 = Observable.interval(0,100, TimeUnit.MILLISECONDS).take(3).map { "observable3 = $it" }
val list = listOf(observable1, observable2, observable3)

Observable.amb(list).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observable3 = 0
//observable3 = 1
//observable3 = 2
  • observable3은 최초 딜레이 없이 곧바로 값을 발행하여 observable3의 데이터만 발행하게 된다.

TakeUntil

  • 두 번째 Observable에서 발행데이터를 받게 되면 모든 항목을 삭제하고 발행을 멈춘다.
  • 만약 두 번재 발행이 첫 번째 발행과 겹치게 되면 출력하고 발행을 중지한다.
Observable.interval(100, TimeUnit.MILLISECONDS)
    .map { "observable = $it" }
    .takeUntil(Observable.timer(500, TimeUnit.MILLISECONDS))
    .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observable = 0
//observable = 1
//observable = 2
//observable = 3

SkipUntil

  • TakeUntil과 다르게 두번째 Observable에서 발행된 이후 데이터를 발행하게 된다.
Observable.interval(100, TimeUnit.MILLISECONDS)
    .take(10)
    .skipUntil(Observable.timer(500, TimeUnit.MILLISECONDS))
    .subscribe(System.out::println)
//결과
//5
//6
//7
//8
//9

Scheduler

  • 일반적으로 Observable를 호출하는 Thread에서 동작한다.
    • interval, timer로 생성된 Observable은 계산 Scheduler인 Computation을 사용함
  • Scheduler는 Observable의 Thread를 지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 데이터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스레드를 subscribeOn로 지정
  • 전달받은 데이터를 처리하는 스레드를 observeOn로 지정

Schedulers

Schdulers.io

  • I/O 처리와 같은 DB, 네트워크작업을 위한 scheduler이다.
  • 캐쉬된 스레드가 있을시 재활용하고 필요에 따라 스레드풀에서 생성된다.
  • 일반적인 계산작업에는 Schedulers.computation을 사용해야한다.
val observable = Observable.just(1,2,3)
observable
    .subscribeOn(Schedulers.io())
    .subscribe {
    println("1. ${Thread.currentThread().name} is working, value is ${it}")
}

observable
    .subscribeOn(Schedulers.io())
    .subscribe {
    println("2. ${Thread.currentThread().name} is working, value is ${it}")
}
//결과
//2. RxCachedThreadScheduler-2 is working, value is 1
//1. RxCachedThread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1
//1. RxCachedThread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2
//2. RxCachedThreadScheduler-2 is working, value is 2
//1. RxCachedThread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3
//2. RxCachedThreadScheduler-2 is working, value is 3
  • 메인스레드에서 호출하여 캐쉬된 스레드를 사용하여 비동기적으로 처리한다.

Schedulers.computation

  • 이벤트 처리 및 콜벡 처리와 같은 계산 작업에 사용한다.
  • I/O처리에서 사용하면 안된다.
  • 기본적으로 스레드의 수는 프로세서와 일치한다.
val observable = Observable.interval(100, TimeUnit.MILLISECONDS).take(3)
observable
    .subscribeOn(Schedulers.io())
    .subscribe {
    println("1. ${Thread.currentThread().name} is working, value is ${it}")
}
//결과
//1. RxComputationThreadPool-1 is working, value is 0
//1. RxComputationThreadPool-1 is working, value is 1
//1. RxComputationThreadPool-1 is working, value is 2
//1. RxComputationThreadPool-1 is working, value is 3
//1. RxComputationThreadPool-1 is working, value is 4
  • 메인스레드에서 생성하고 Schduler를 io로 지정해주었지만 ComputationThreadPool의 스레드를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 이는 interval, timer로 Obversable를 생성하면 scheduler가 자동적으로 computation으로 바뀐다.

Schedulers.newThread

  • 작업마다 새로운 스레드를 생성한다.
val observable = Observable.just(1,2,3)
observable
    .subscribeOn(Schedulers.newThread())
    .subscribe {
    println("1. ${Thread.currentThread().name} is working, value is ${it}")
}

observable
    .subscribeOn(Schedulers.newThread())
    .subscribe {
    println("2. ${Thread.currentThread().name} is working, value is ${it}")
}
//결과
//1. RxNewThread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1
//1. RxNewThread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2
//1. RxNewThread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3
//2. RxNewThreadScheduler-2 is working, value is 1
//2. RxNewThreadScheduler-2 is working, value is 2
//2. RxNewThreadScheduler-2 is working, value is 3
  • 메인스레드에서 호출했고 새롭게 스레드를 생성하여 각 작업을 비동기적으로 처리한다.

Schedulers.single

  • singleThreadPool을 사용하고 해당 Scheduler로 여러 작업을 수행하면 Queuing되어 순서가 보장
val observable = Observable.just(1,2,3)
observable
    .subscribeOn(Schedulers.single())
    .subscribe {
    println("1. ${Thread.currentThread().name} is working, value is ${it}")
}

observable
    .subscribeOn(Schedulers.single())
    .subscribe {
    println("2. ${Thread.currentThread().name} is working, value is ${it}")
}
//결과
//1. RxSingle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1
//1. RxSingle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2
//1. RxSingle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3
//2. RxSingle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1
//2. RxSingle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2
//2. RxSingleScheduler-1 is working, value is 3
  • 메인스레드에서 호출했지만 SingleScheduler로써 순서가 보장되고 비동기처리가 가능해진다.

Schedulers.trampoline

  • 호출한 스레드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해당 스레드에서 다른 작업을 수행하면 Queuning되어 순서가 보장된다.
val observable = Observable.just(1,2,3)
observable
    .subscribeOn(Schedulers.trampoline())
    .subscribe {
    println("1. ${Thread.currentThread().name} is working, value is ${it}")    
}
observable
    .subscribeOn(Schedulers.trampoline())
    .subscribe {
        println("2. ${Thread.currentThread().name} is working, value is ${it}")
    }
//결과
//1. main is working, value is 1
//1. main is working, value is 2
//1. main is working, value is 3
//2. main is working, value is 1
//2. main is working, value is 2
//2. main is working, value is 3
  • 메인스레드에서 호출했기 때문에 스레드는 mainThread가 되고 순차적으로 처리된다.

Scheduler 지정

  • subscribeOn : 작업을 처리할 스레드 지정
  • observeOn : 작업결과를 처리할 스레드 지정

SubscribeOn

  • 작업을 처리할 스레드를 지정하는 연산자이다.
  • observeOn 연산자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선언 위치에 무관하게 Observable, Observer모두 subscribeOn에서 지정한 scheduler를 사용한다.

ObserveOn

  • observe의 scheduler를 지정하는 연산자이다.
  • subscribeOn과 비슷하지만, Observable 객체에 지정된 scheduler에서 작동하도록 지정하고 해당 scheduler에 대한 관찰자에게 알려준다.

subscribeOn과 observeOn의 우선순위

  • 기본적으로 Observable과 사용자가 지정한 연산자 체인의 작업을 수행하고 subscribe 메서드에 대해 관찰자에게 알린다.

  • SubscribeOn연산자는 Observable이 작동해야 하는 다른 Scheduler를 지정하여 작동 스레드를 변경한다.

  • observeOn연산자는 Observable가 observe에게 변경사항을 보내는데 다른 scheduler를사용하게끔 만들것이다.

  • 다음 이미지를 통해 subscribeOn과 observeOn의 우선순위에 대해 알수 있다.

  • SubscribeOn 연산자는 Observable가 어느 Thread에서 작동 시작할지를 지정한다.
    • SubscribeOn연산자는 위치에 상관없이 Ovservable의 시작 스레드를 지정할 수 있다.
  • 반변에 ObserveOn은 Observable에서 사용된 시점아래 부터 지속적으로 스레드에 영향을 미친다.
    • 첫번재 observeOn연산자가 수행된 이후 지속적으로 주황색 Scheduler를 사용되고 마지막에 보라색 Scheduler로 변형되었다.
  • 이러한 것을 통해 Observable에 연산자를 연속적으로 사용하는 과정에서 ObserveOn 연산자를 여러번 호출하여 특정 Thread가 특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subscribeOn 연산자의 경우 여러번 호출가능하지만 가장 먼저 선언된 Scheduler를 사용하게 된다.

Debuging & Exception

  • Reactive Programming에서는 try-catch문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doOnXXX 연산자를 이용하여 처리해야 한다.

doOnNext, doOnError, doOnComplete

  • doOn 연산자가 먼저 실행됨을 알 수 있다.
Observable.just(0, 1, 2)
    .doOnNext { println("doOnNext = $it") }
    .doOnComplete { println("doOnComplete") }
    .doOnError { println("doOnError") }
    .subscribe({
        println("onNext = $it")
    }, {
        println("onError = $it")
    }, {
        println("onComplete")
    })
//결과
//doOnNext = 0
//onNext = 0
//doOnNext = 1
//onNext = 1
//doOnNext = 2
//onNext = 2
//doOnComplete
//onComplete
Observable.just(0, 1, 2)
    .map { it % 0 }
    .doOnNext { println("doOnNext = $it") }
    .doOnComplete { println("doOnComplete") }
    .doOnError { println("doOnError") }
    .subscribe({
        println("onNext = $it")
    }, {
        println("onError = $it")
    }, {
        println("onComplete")
    })
//결과
//doOnError
//onError = java.lang.ArithmeticException: / by zero

doOnSubscribe, doOnDispose

  • subscribe호출과 dispose 메서드를 사용시 처리될 로직을 수행할 수 있다.
val dispose = Observable.interval(100, TimeUnit.MILLISECONDS)
    .doOnSubscribe { println("doOnSubscribe") }
    .doOnDispose { println("doOnDispose") }
    .subscribe({
        println("onNext = $it")
    }, {
        println("onError = $it")
    }, {
        println("onComplete")
    })
Thread.sleep(500)
dispose.dispose()
//결과
//doOnSubscribe
//onNext = 0
//onNext = 1
//onNext = 2
//onNext = 3
//onNext = 4
//doOnDispose

onErrorReturn

  • error가 발생했을때의 값을 다른 값으로 매핑하여 예외를 처리할 수 있다.
val list = mutableListOf("0", "1", "2","T3", "4")
Observable.fromIterable(list)
    .map{Integer.parseInt(it)}
    .onErrorReturn {
        println("error => $it")
        return@onErrorReturn -1
    }
    .subscribe {
        println("onNext = $it")
    }
//결과
//onNext = 0
//onNext = 1
//onNext = 2
//error => java.lang.NumberFormatException: For input string: "T3"
//onNext = -1
  • onErrorReturnItem을 이용하여 Throwable을 받지 않고 곧바로 값을 넘길 수 있다.

Retry

  • Observable에서 오류를 발생한다면 오류가 발생되지 않을 때까지 다시 수행한다.
  • 일반적으로 네트워크 요청처리 실패시 사용될 수 있다.
val observable = Observable.range(0, 10)
    .map {
        if (it == 3) throw Exception("error")
        else it
    }
observable.retry(2).subscribe({
    println("onNext = $it")
},{
    println("onError = $it")
})
//결과
//onNext = 0
//onNext = 1
//onNext = 2
//onNext = 0
//onNext = 1
//onNext = 2
//onNext = 0
//onNext = 1
//onNext = 2
//onError = java.lang.Exception: error

참고 :

ReactiveX

'Language/Rx' 카테고리의 글 목록 (tistory.com)

profile
vvvvvvvvvvvvvvv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