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del Context Protocol의 약자로
LLM(대규모 언어 모델)이 외부 데이터와 도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표준 프로토콜
요즘 가장 핫해보이는 주제라 너무너무너무 해보고싶어서 손이 정말 근질거렸다 ..
공식문서를 살펴보면 전체적인 아키텍처에 대한 설명이 있다

대략적인 큰 틀은 host와 server, data source로 나뉘고
이때 host는 클로드와 같은 ai인 것 같다
기본적으로 ai는 내 로컬에 있는 정보를 볼 수 없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mcp를 사용하는 것이고
전체적인 흐름은
1. 사용자가 host에 요청
2. host는 적절한 mcp client 선택 후 필요한 데이터 요청
3. MCP 서버가 Data Source에 접근
4. 데이터 반환
이렇게 진행되는 것 같다
우선 클로드를 이용해 만들어줄 예정이기 때문에 클로드를 설치해준다

필자는 맥북을 사용중이기 때문에 macOS로 다운받아 주었다
이후 블랜더 mcp를 설치해준다
brew install uv
해당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되고 윈도우는 다른 명령어를 입력해주어야 하므로
위에 링크에 들어가서 확인해보자
설치가 완료되면 클로드에 들어가 왼쪽 위 Claude -> 설정 -> 개발자에 들어가면

해당 화면이 나오고 설정편집을 누르면
아까 설치해둔 config가 나오게 된다
{
"mcpServers": {
"blender": {
"command": "uvx",
"args": [
"blender-mcp"
]
}
}
}
이후 해당 파일을 붙혀넣기 한 후 저장해주면 된다

필자는 vscode가 가장 먼저 열려서 여기에 설정해주었다
이후 클로드를 껐다가 다시 켜주면

아까 개발자 부분에 블렌더가 들어가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해당 링크로 들어가

오른쪽 부분에 Download raw file을 해주면 된다
이제 블랜더를 설치한 후 실행시켜준다

그 다음 Edit -> preference -> Add-ons -> Install from Disk를 눌러
아까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인스톨해준다

이렇게 체크된게 보이면 제대로 인스톨된것이다

오른쪽에 작은 화살표를 누른 후 Connect to MCP server 버튼을 누르면
포트번호가 뜨고 이제 연결이 완료됐다
챗지피티로 만드려는 캐릭터 모델링 해둔게 있었는데

약간 생각해둔건 이런 느낌 ,,?
이대로 버튜버 모델링을 해달라고 클로드에게 보내보자

한 번만 허용해보자

뚱땅뚱땅 작업을 시작한 클로드 .. 결과는 .. ??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아 진짜 ,,, 너무 즐겁다 ,,, 내 프롬프트가 별로였을 수 있지만
이건 너무 하잖아요 사장님 ㅜㅜㅜㅜㅜ
간단한 흐름만 알아보고 기존의 글들을 따라한거라 어렵거나 오래 걸리진 않았지만 .. ㅋㅋㅋㅋ 결과가 너무 웃기게 나와서 상당히 즐거웠다. 아마 프롬프트를 더 구체적으로 작성하면 내가 원하는대로 결과가 나오지 않을까? 싶어서 추후에 변경사항이 있으면 수정해두어야겠다.
https://www.youtube.com/watch?v=iGcpsvWkZlY
https://velog.io/@ubin_ing/use-claude-code-with-figma-mc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