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를 배열 안에 객체로 저장할지, 객체 안에 객체로 저장할지 결정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각 접근 방식의 장단점을 이해하면, 데이터 구조를 보다 효율적으로 설계할 수 있습니다. 예시 데이터를 사용하여 각 접근 방식의 장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
음식점 데이터를 예시로 들어보겠습니다.
[
{
"name": "Restaurant1",
"open": true,
"cuisine": "Italian",
"rating": 4.5,
"maxTables": 20
},
{
"name": "Restaurant2",
"open": false,
"cuisine": "Chinese",
"rating": 4.0,
"maxTables": 15
},
{
"name": "Restaurant3",
"open": true,
"cuisine": "Mexican",
"rating": 4.2,
"maxTables": 25
}
]
[
{
"name": "Restaurant1",
"open": true,
"cuisine": "Italian",
"rating": 4.5,
"maxTables": 20
},
{
"name": "Restaurant2",
"open": false,
"cuisine": "Chinese",
"rating": 4.0,
"maxTables": 15
},
{
"name": "Restaurant3",
"open": true,
"cuisine": "Mexican",
"rating": 4.2,
"maxTables": 25
}
]
map, filter, reduce 등의 고차함수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쉽게 조작할 수 있습니다.{
"Restaurant1": {
"open": true,
"cuisine": "Italian",
"rating": 4.5,
"maxTables": 20
},
"Restaurant2": {
"open": false,
"cuisine": "Chinese",
"rating": 4.0,
"maxTables": 15
},
"Restaurant3": {
"open": true,
"cuisine": "Mexican",
"rating": 4.2,
"maxTables": 25
}
}
Object.keys나 Object.values 등의 메소드를 사용해야 하므로 배열에 비해 다소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map, filter, reduce 등의 고차함수를 바로 사용할 수 없고, 객체의 키와 값을 배열로 변환한 후 사용해야 합니다.데이터의 구조와 사용 용도에 따라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데이터가 많고 빠른 검색이 필요하며, 고차함수를 자주 사용한다면 배열 안에 객체가 더 적합할 수 있고, 데이터가 적고 고유한 데이터 관리를 원한다면 객체 안에 객체가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