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sk는 코드 블럭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사용하면 병렬적으로 특정 코드를 처리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런데, 두 개 이상의 Task에서 공유자원을 사용해야 한다면 어떻게 할까?
공유 자원에 접근하는 것은 동시성 문제를 일으키는 핵심적인 이유중 하나다. 궁금하다면 Concurrency에서 그 이유들을 알아보자. Apple은 이러한 문제에 대해 Actor라는 타입을 만들어 문제를 원천봉쇄하고자 했다. 한번 알아보자.
class Counter {
var value = 0
func increment() -> Int {
value = value + 1
return value
}
}
let counter = Counter()
Task.detached { // detached를 사용하면 unstructured concurrency로 동작한다. 다음글에서 살펴보겠다.
print(counter.increment())
}
Task.detached {
print(counter.increment())
}
공유 변수에 두 Task가 접근하여, 시점에 따라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두 Task 모두 1을 받거나, 둘다 2를 받거나, 1, 2를 받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런 문제는 변경가능한 공유 자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데이터가 공유되지 않거나, 다중 스레드에서 해당 변수가 공유되지 않는다면 data race는 발생하지 않는다.
Value semantic을 사용하여 공유 자체를 하지 않도록 한다.
let
사용var array1 = [1, 2]
var array2 = array1 // copyOnWrite로 아직 복사 안됨
array1.append(3) // 이 시점에 변경됨
array2.append(4)
print(array1) // 1, 2, 3
print(array2) // 1, 2, 4
// 복사 완료
value type을 사용하게 되면, 값을 복사해서 사용하기 때문에 안전하다. array, dictionary 등이 예가 될 수 있겠다.
struct Counter {
var value = 0
mutating func increment() -> Int {
value = value + 1
return value
}
}
let counter = Counter()
Task.detached {
print(counter.increment()) // ❎ Cannot use mutating member on immutable value 'counter' is let constant.
}
Task.detached {
print(counter.increment()) // ❎ Cannot use mutating member on immutable value 'counter' is let constant.
}
하지만 이 방식을 Counter
에 도입하면 사용이 불가능하다. 먼저 let
을 사용하는 경우, immutable 변수의 member 변수를 변경할 수 없다는 에러가 뜬다.
struct Counter {
var value = 0
mutating func increment() -> Int {
value = value + 1
return value
}
}
var counter = Counter()
Task.detached {
print(counter.increment()) // ❎ Mutation of captured var 'counter' in concurrently-executing code
}
Task.detached {
print(counter.increment()) // ❎ Mutation of captured var 'counter' in concurrently-executing code
}
그럼 var
로 변경하면 문제가 해결될까? 당연히 아니다. 결국 내부에 있는 value
라는 property의 값을 변경하고 있는 행위는 같기 때문에, concurrent하게 접근하고 있어 문제가 있을 수 있다는 에러를 뿜는다.
결국 Value semantic으로 공유 변수에 접근하는 것을 해결할 수 없었다. multi thread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공유 변수에 접근해서 로직을 처리해야 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이렇게 되니 공유자원에 접근하는 방식에 대해 고찰할 필요가 있다.
이런 상황에서 Actor가 나왔다.
actor Counter {
var value = 0
func increment() -> Int {
value = value + 1
return value
}
}
let counter = Counter()
Task.detached {
print(await counter.increment()) // 1, 2
}
Task.detached {
print(await counter.increment()) // 2, 1
}
Actor는 다음의 특징을 갖는다.
즉, 위의 Counter
코드에서 Actor로 변경된 이후, increment
를 어디에서 호출하더라도, 해당 동작은 완료된 이후에 순차적으로 다음 task를 처리한다는 것이다.
actor와 비동기적으로 상호작용한다는 것은, actor의 외부에서 method를 사용할 때를 말한다.
actor Counter {
var value = 0
func increment() -> Int {
value = value + 1
return value
}
}
let counter = Counter()
Task.detached {
print(await counter.increment()) // 1, 2
}
Task.detached {
print(await counter.increment()) // 2, 1
}
actor에 접근했을 때, 이미 이전 동작이 진행중이라면, 동작을 요청한 Task는 처리를 suspend하고 다른 작업을 처리한다. actor에서 이전 작업이 완료되었다면 actor에 작업 처리 요청이 들어가고, 완료되면 Task가 resume된다. 이는 await
키워드로 하여금 async 처리가 actor에서 진행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럼 동기적으로 처리된다는 것을 무엇을 말하는 걸까? actor내부에서 값을 변경시키는 함수를 호출했을 때를 말한다.
extension Counter {
func resetSlowly(to newValue: Int) {
value = 0
for _ in 0..<newValue {
increment()
}
assert(value == newValue)
}
}
resetSlowly
함수는 내부 변수인 value
를 newValue
로 초기화하는 함수이다. Counter
actor안에 정의되어 있으며, 이는 곧 직접적으로 value
에 접근할 수 있다는 말이다. 이런 경우에는 동기적으로 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await
가 필요없다.
즉, actor안에 있는 함수는 동기적으로 호출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실행되는 동기 코드는 방해받지 않고 실행된다.
위에서 actor 내부에서 호출하는 코드의 경우 sync하게 동작한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종종 async 코드와 상호작용하는 경우가 많다.
actor ImageDownloader {
private var cache: [URL: Image] = [:]
func image(from url: URL) async throws -> Image? {
if let cached = cache[url] {
return cached
}
let image = try await downloadImage(from: url)
cache[url] = image
return image
}
}
일단 이 코드의 경우에는 actor안에서 호출하고 있기 때문에, data race 상태가 발생하지 않는다. 앞에서 말했듯 동기적으로 순차적이게 처리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image(from:)
함수를 외부 task에서 호출하면 어떤일이 발생할까?
let downloader = ImageDownloader()
let url = URL("https://someUrl~")
Task.detached { // 1️⃣
let image = await downloader.image(from: url)
// UI Updates...
}
Task.detached { // 2️⃣
let image = await downloader.image(from: url)
// UI Updates...
}
image
호출await
키워드가 있기 때문에 해당 동작의 결과를 받기 위해 suspend됨downloadImage
호출image
호출await
키워드가 있기 때문에 해당 동작의 결과를 받기 위해 suspend됨downloadImage
호출image
변수에 할당됨image
변수에 할당됨여기서 문제는, actor 내부에 정의된 함수는 sync하게 동작하나, 그 함수 내부에 비동기 함수가 포함된 경우, sync하게 동작하지 않아 다른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위의 예시와 같은 cache의 경우 같은 url이라면 두번 downloadimage
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예는, 은행에 입금, 출금할 때도 발생할 수 있다. 돈을 입금하고, 출금하는 동작을 하는 함수가 있다고 할 때, 서로 다른 실행 주체에서 해당 함수를 호출했다면 위의 image
함수를 호출하는 것처럼 입출금의 순서, 혹은 필요없는 실행 등이 겹쳐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이런 상황은 전형적인 Reentrancy Problem이다.
Reentrancy: 서브루틴이 동시에(병렬) 안전하게 실행 가능한 상태. 즉, 재진입이 가능한 루틴은 동시에 접근해도 언제나 같은 실행 결과를 보장한다.
actor BankAccount {
private var balance = 1000
func withdraw(_ amount: Int) async {
print("🤓 출금할 금액입니다: \(amount)")
guard canWithdraw(amount) else {
print("🚫 출금에 충분한 잔액이 없습니다. 잔고: \(balance)")
return
}
guard await authorizeTransaction() else { // 서버에서 transaction 확인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 mocking
return
}
print("✅ 거래 처리 완료: \(amount)원을 받아주세요.")
balance -= amount
print("💰 남은 계좌 잔고: \(balance)원")
}
private func canWithdraw(_ amount: Int) -> Bool {
return amount <= balance
}
private func authorizeTransaction() async -> Bool {
// Wait for 1 second
try? await Task.sleep(nanoseconds: 1 * 1000000000)
return true
}
}
let account = BankAccount()
Task {
await account.withdraw(800)
}
Task {
await account.withdraw(500)
}
actor로 계좌를 만들었고, 내부에 잔고 property를 통해 출금을 하는 시나리오를 구성했다. 두개의 Task에서 가진 잔고보다 더 많은 금액을 출금하는 것을 시도했다. 의미적으로 원하는 결과는, 두 Task중 어떤 것이 먼저 실행되든, 둘 중 하나는 잔금이 부족해 돈을 인출할 수 없어야 한다.
🤓 출금할 금액입니다: 800
🤓 출금할 금액입니다: 500
✅ 거래 처리 완료: 800원을 받아주세요.
💰 남은 계좌 잔고: 200원
✅ 거래 처리 완료: 500원을 받아주세요.
💰 남은 계좌 잔고: -300원
실패다. 은행은 곧 파산할지도 모른다.
Apple의 영상을 보면, actor Reentrancy는 deadlock을 방지하여, 진행하도록은 할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await
로 선언된 함수의 대기시간을 가정해야 한다. 즉, actor 내부의 mutable state에 대한 관리까지는 해주지 않는다. 그건 개발자의 책임이다.
해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Apple 엔지니어들이 제안하는 첫번째 방법은, actor 내부 상태 변경을 sync code 안에서 하라는 것이다.
여기서 문제는 동기적으로 처리하고 있는 흐름에서 먼저 출금 가능여부를 판단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그렇기 때문에 처음에는 출금 가능이라 통과된 이후, 서버에 요청을 하는 동안 suspend되고, 그 사이에 두번째 Task의 출금 가능 로직을 수행한다. 당연히 아직 반영이 안되었으니 통과되버린다. 이 시점에서 사실 통과되면 안된다.
actor BankAccount {
private var balance = 1000
func withdraw(_ amount: Int) async {
guard await authorizeTransaction() else { // 서버 요청을 먼저 수행한다.
return
}
print("🤓 출금할 금액입니다: \(amount)")
guard canWithdraw(amount) else {
print("🚫 출금에 충분한 잔액이 없습니다. 잔고: \(balance)")
return
}
print("✅ 거래 처리 완료: \(amount)원을 받아주세요.")
balance -= amount
print("💰 남은 계좌 잔고: \(balance)원")
}
}
🤓 출금할 금액입니다: 800
✅ 거래 처리 완료: 800원을 받아주세요.
💰 남은 계좌 잔고: 200원
🤓 출금할 금액입니다: 500
🚫 출금에 충분한 잔액이 없습니다. 잔고: 200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먼저 서버에 요청을 한 후(async 함수를 먼저 호출하고) 출금 가능 확인 로직과 실제 인출을 같은 동기 코드 안에서 묶어버리면 된다. 그렇게 되면 두번의 Task는 actor 안에 있는 함수에 정의된 동작이기 때문에 synchronous하게 동작한다. (위의 Synchronous interaction with actors절에서 설명함)
근데 사실 문제가 있다. 계좌에 잔액이 부족하면, 서버에 Transaction 확인할 필요가 있을까? 잔액이 부족하면 early return하여 불필요한 요청을 하지 않는 것이 더 좋은 것 아닌가? (재진입을 제거)
어떻게 하면 여러번의 인출 요청을 multi thread 환경에서 깔끔하게 처리하면서 Reentrancy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에 대해 Apple 엔지니어들이 내놓는 답은, suspension point, 즉, await
에 관련된 함수를 호출한 뒤에, 상태를 확인하라는 것이다. 쉽게 말하면 transation 요청 후에 다시 출금 가능여부를 판단하라는 것이다.
func withdraw(_ amount: Int) async {
guard canWithdraw(amount) else { // 일단 early return을 위해 한번 걸러준다.
print("🚫 출금에 충분한 잔액이 없습니다. 잔고: \(balance)")
return
}
guard await authorizeTransaction() else { // 서버 요청을 먼저 수행한다.
return
}
print("✅ Transaction이 승인되었습니다.")
print("🤓 출금할 금액입니다: \(amount)")
guard canWithdraw(amount) else {
print("🚫 출금에 충분한 잔액이 없습니다. 잔고: \(balance) - after authorized")
return
}
print("✅ 거래 처리 완료: \(amount)원을 받아주세요.")
balance -= amount
print("💰 남은 계좌 잔고: \(balance)원")
}
이렇게 하면 위 코드와 같이 Task가 거의 비슷한 시간대에 동작하는 경우에는 early stop이 먹히지 않겠지만, 적용할 수는 있다.
Actor가 Thread-safe 하다는 것은, actor가 가진 변화가능한 상태에 대해 상호 배제를 보장한다는 것이다. 즉, 특정 상태에 대해 동시에 접근하는 것을 막겠다는 것이다. 위의 account 코드를 보았을 때, 항상 🤓 출금할 금액입니다: 800
이 먼저 출력되었다. 즉, 외부에서 여러 Task 내부에 actor의 method를 호출하더라도, 여러개 존재하는 Task에서 독자적인 실행 흐름을 가지고 메서드를 실행하는 것이 아닌, actor가 가지는 실행흐름에 종속된다는 것이다.
Reentrancy 문제가 보통 multi thread 상황에서 발생하지만 thread-safe와는 다른 문제이다. 여기서 골자는, actor라는 타입이 multi thread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는 처리했지만, 여전히 재호출하거나, 여러 다른 task에서 실행했을 때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말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이유는, suspension point(await
)에서 actor의 상태값이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고 가정했기 때문에 발생한다. 분명 actor 내부에 정의된 함수는 sync하게 동작하지만, 내부에 비동기 함수를 넣고 실행하게 되면, 그 비동기함수의 동작은 다른 실행 흐름을 갖고 있고, 그동안 해당 비동기 함수를 호출한 실행 흐름은 suspend된다. 그런데 concurrent하게 작동하기 때문에 suspend된 동안 다른 작업을 수행하게 되고, 그 작업이 같은 actor의 함수를 호출하게 된다면, 이전 Task의 결과가 도출되기 전에 호출된 것이기 때문에 같은 결과가 나오지 않을 수 있다.
즉, Thread-safe와 Reentrancy는 다른 문제다.
Reentrancy에 대해서는 마법의 정답이 없다. 상황마다 다르고 처리해야 하는 방식도 다르다. 하지만 actor에 대해 알아보면서 생각해볼만한 부분은 분명히 있었다.
await
와 같은 suspension을 걸고, 이를 외부에서 호출한다면 Reentrancy 문제에 빠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