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본 포스팅은 H-모빌리티 클래스를 통한 개인 기록용 스터디이며, 구글링 및 수업 내용 복습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할 계획입니다.
- Mesh Topology
- Ring Topology
- Star Topology
- Tree Topology
- Bus Topology
- 차량용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버스 구조 가짐
- 차량 내 개별 제어기의 역할에 따라 도메인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것이 일반적
- 통신선 사용 시 장점
- 제어기의 추가/제거 간편 + 차량 내 효율적 정보 공유 + 새로운 기능 적용 용이
- 제어기 증가 시 단점
- 고장 발생지점 탐색에 어려움 + 고장 발생 확률 증가 + 원가 및 중량 증가
- 차량용 네트워크 구조
CAN 통신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통신이 어떤 신호를 통해 전달되는지에 관한 물리 계층의 스펙
- 네트워크 구성
- 통신선의 길이
- 메인 선 ~ 제어기까지의 거리
- Twisted wire를 이용한 통신선 공유
- 통신 속도 조절 가능
- 1000kbit/s의 Data rate 기준 30 ~ 40m의 통신선 필요, Nominal Bit-Time: 1ms
- 반사파 현상 제거를 위해 양 끝단에 종단 저항 설치
물리 계층의 동작 원리
- Differential signal: 서로 다른 전압을 가할 때 전압 차이가 0인지 1인지 판별
- 전압 차이가 0이면: Dominant라 부르고,
- 전압 차이가 1이면: Recessive라 부른다.
- 두 통신선의 전압 차이로 0 또는 1 판별
- 두 신호가 충돌하면 0이 무조건 이긴다!
- Transceiver
CAN 통신 -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정보를 담고 있는 그릇
- 부가 정보를 통해 안정적으로 데이터 전달
- SOF(Start of Frame): 메시지 시작
- End of Frame: 메시지 끝
- Arbitration Field: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는 인덱스가 포함됨
-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수신 확인으로 데이터 안정성 보장
- ACK(Acknowledgement): 정확한 데이터 수신 시 발신자에게 전달
- 발신자와 수신자의 정보 공유
- Arbitration Field: 메시지 발송 순서 정하는 용도로 사용
- Message ID: 숫자로 표현될 수 있는 정보
- 메시지 간 우선 순위 경쟁에 활용: 번호가 낮을수록 우선 순위가 높음
- 순차적 메시지 발송 필요: 3개의 제어기에 대한 메시지 동시 전송 불가
- 안전에 민감한 경우: 낮은 번호대 사용으로 우선 순위 결정
- 안전에 민감하지 않은 경우: 높은 번호대 사용
- Message ID에 따라 Arbitration Field에서 중재를 통해 전송 순서 관리
https://m.blog.naver.com/suresofttech/220793847337
https://m.blog.naver.com/roboholic84/221743487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