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내부 통신] - CAN, LIN, Ethernet, FlexRay

wansuper·2024년 5월 13일
0

차량용 통신

목록 보기
1/1

※ 본 포스팅은 H-모빌리티 클래스를 통한 개인 기록용 스터디이며, 구글링 및 수업 내용 복습을 바탕으로 지속적으로 업데이트를 할 계획입니다.

차량 내 네트워크를 이루는 토폴로지의 종류

  1. Mesh Topology
  2. Ring Topology
  3. Star Topology
  4. Tree Topology
  5. Bus Topology
  • 차량용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버스 구조 가짐
  • 차량 내 개별 제어기의 역할에 따라 도메인 기준으로 그룹화하여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것이 일반적
  • 통신선 사용 시 장점
    • 제어기의 추가/제거 간편 + 차량 내 효율적 정보 공유 + 새로운 기능 적용 용이
  • 제어기 증가 시 단점
    • 고장 발생지점 탐색에 어려움 + 고장 발생 확률 증가 + 원가 및 중량 증가
  • 차량용 네트워크 구조
  • CAN, LIN, Ethernet, FlexRay
    • 서로 데이터 공유 X -> Gateway가 이걸 가능하게 함

CAN(Controller Area Network)

  • 1980년대 BOSCH에서 차량용으로 개발, 오늘날 가장 많이 사용
  • CAN, FlexRay: 제어 명령 및 진단 통신에 주로 사용

  • CAN 통신 특징
    1. Multi-master: 네트워크로 구성된 제어기는 원하는 시점에 정보 송수신 가능
    2. Twisted pair(2-wire): 두 개의 통신선으로 네트워크 구성
      • 기존 통신보다 단순한 선로 구성 가능
    3. Bus Topology: 제어기의 추가/제거 용이해, 설계자 입장에서 편리함
  • CAN 통신의 관련 국제 표준
    • SAE J2284, SAE J1939, ISO 11898(데이터링크 계층과 물리 계층으로 구분됨)

CAN 통신 -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통신이 어떤 신호를 통해 전달되는지에 관한 물리 계층의 스펙
    • 네트워크 구성
    • 통신선의 길이
    • 메인 선 ~ 제어기까지의 거리
  • Twisted wire를 이용한 통신선 공유
  • 통신 속도 조절 가능
    • 1000kbit/s의 Data rate 기준 30 ~ 40m의 통신선 필요, Nominal Bit-Time: 1ms
  • 반사파 현상 제거를 위해 양 끝단에 종단 저항 설치

물리 계층의 동작 원리

  • Differential signal: 서로 다른 전압을 가할 때 전압 차이가 0인지 1인지 판별
  • 전압 차이가 0이면: Dominant라 부르고,
  • 전압 차이가 1이면: Recessive라 부른다.
  • 두 통신선의 전압 차이로 0 또는 1 판별
    • 두 신호가 충돌하면 0이 무조건 이긴다!
  • Transceiver

  • 정보를 담고 있는 그릇
    • 부가 정보를 통해 안정적으로 데이터 전달
    • SOF(Start of Frame): 메시지 시작
    • End of Frame: 메시지 끝
    • Arbitration Field: 메시지를 구분할 수 있는 인덱스가 포함됨
    • CRC(Cyclic Redundancy Check): 수신 확인으로 데이터 안정성 보장
    • ACK(Acknowledgement): 정확한 데이터 수신 시 발신자에게 전달
      • 발신자와 수신자의 정보 공유
  • Arbitration Field: 메시지 발송 순서 정하는 용도로 사용
    • Message ID: 숫자로 표현될 수 있는 정보
      • 메시지 간 우선 순위 경쟁에 활용: 번호가 낮을수록 우선 순위가 높음
      • 순차적 메시지 발송 필요: 3개의 제어기에 대한 메시지 동시 전송 불가
    • 안전에 민감한 경우: 낮은 번호대 사용으로 우선 순위 결정
    • 안전에 민감하지 않은 경우: 높은 번호대 사용
    • Message ID에 따라 Arbitration Field에서 중재를 통해 전송 순서 관리

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 서브 네트워크 방식: 간단한 기능 제어에 사용
  • 어떤 하나의 제어기의 서브 네트워크로 연결되는 구조
  • Single wire 기반 통신으로, 최대 속도는 20Kbps (CAN보다 낮음)
  • 간단한 기능의 ECU 제어용 로컬 네트워크 [노드: 16개 이하, 메시지 64개 이하]
    • 예: 센서, 엑추에이터, 스위치
  • 장점: CAN보다 개발 및 재료 비용이 저렴
  • 단점: CAN보다 느린 속도, 적은 기능
  • Single master, Multi Slave 구조
    • Time-triggered Schedule Communication: 지정한 시간에 메시지 전달하는 방식
      • Single wire 방식에 적합
      • Master의 스케줄에 따른 Slave의 동작
    • 일반적인 범용에서, SCI(Serial Communication Interface) 통신 모듈 이용
      • Transceiver Chip: 교체 시 쉽게 LIN 통신 가능
    • CAN_H와 CAN_L의 전압 차로 표현
    • 메시지 구분 용도는 CAN과 같다.
  • LIN 통신의 활용 사례

Ethernet

  • 멀티미디어 및 ADAS에 주로 사용

FlexRay

  • CAN, FlexRay: 제어 명령 및 진단 통신에 주로 사용

https://m.blog.naver.com/suresofttech/220793847337
https://m.blog.naver.com/roboholic84/221743487231

profile
🚗 Autonomous Vehicle 🖥️ Study Alon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