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 제어문이란 프로그램을 작성하다 보면 특정 조건이 충족되어 더 이상 프로그램을 진행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50명의 학생 중에서 100점 만점자가 있는지 확인하는 프로그램에서는 100점을 확인하는 순간 더 이상의 작업은 의미가 없다.
이럴 때 이동 제어문을 사용하여 그 프로그램을 끝 마칠수 있다.
< break 예시>
public class Break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 (int i = 1; i <= 10; i++) {
if(i == 5) {
break;
}
System.out.println("i 변수 값 : " + i);
}
}
}
i가 5가되는 순간 for문밖으로 빠져나오며, 더 이상 for문이 동작하지 않는다.
프로그램의 수행을 중단시킨다는 점에서는 break와 동일하지만 continue는 이후에 작성된 실행을 중단하는 것 뿐이지 break처럼 반복문 자체를 종료시키지는 않는다.
break : 반복문 종료
continue : 한번만 무시한다.
< continue 예시 >
package ch21;
public class Continue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
for( num = 1; num <= 100; num++) {
if( (num % 3) != 0) continue;
System.out.println(num);
}
}
}
num 을 3으로 나누었을 때 0 이 아니면 num 이 출력되지않게 continue가 작성되어 있는 코드이다. continu를 만나면 거기서 다음 num로 for문이 시작되는 것을 볼 수있다.
그 결과 1부터 100까지 숫자 중 3의 배수만 출력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