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TCP/IP 프로토콜 계층 구조

sun·2022년 9월 13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4/9

1. TCP/IP 계층 구조

인터넷에서 컴퓨터들이 서로 정보를 주고받는데 쓰이는 통신규약(프로토콜)의 모음


1-1. 계층 구조의 장단점

장점

  • 새로운 프로토콜 정의 용이

  • 특정 프로토콜 수정 용이

  • 전체 시스템 이해 용이

단점

  • 최적 시스템 구현 어려움(하위 계층 사용, 계층 간 서비스 인터페이스 구현)

1-2. 계층 구조

계층 5. application

  • 최종 사용자 서비스를 이용한 정보(message) 교환 규칙

  • HTTP, SMTP, FTP, DNS


계층 4. transport

  • 최종 통신 목적지(응용 프로토콜, 컴퓨터가 아닌 해당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지정하고, 오류(패킷 손실) 없이 데이터(message를 segment로 변환)를 전송

  • 해당 프로세스를 지정하는 일종의 주소, 포트번호를 사용

  • TCP, UDP


계층 3. network

  • transport 계층이 내려보낸 데이터를 종단 시스템까지 전달

  • 네트워크 상에서 최적 전송 경로를 찾고,
    segment를 datagram으로 변환하여 종단 시스템으로 교환 및 전달

  • 네트워크 액세스와 마찬가지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이 필요
    - 물리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정의된 논리 주소, IP를 사용
    -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경로를 알아야 함

  • IP : Datagram 전달 프로토콜
    - 물리 주소를 사용하지 않고 소프트웨어적으로 정의된 논리 주소

  • Routing : 최적 전송 경로 찾기 프로토콜
    - 실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전송 경로를 알아내기 위함

  • 물리적 네트워크를 통한 실제적인 데이터 전송 담당

  • datagram을 frame으로 변환하여 링크 끝으로 전송

  • Ethernet, Wifi

계층 1. physical

  • 디지털 비트와 물리적인 신호의 변환과 물리 매체 접속 규격 정의



2. 캡슐화

2-1. 프로토콜 교환 정보

  1. Data information
    : 사용자가 상대방 통신 사용자에게 전송을 의뢰한 정보

  2. Control intformation
    : 프로토콜의 규칙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하는 정보
    ex> PN(Port Number), SN(Sequence Number)

    ⊕ 웹브라우저와 웹서버 사이에 주고받는 데이터 정보가 아닌,
    그 데이터 정보를 안전하게 교환하기 위해서 필요한 제어정보

*로컬 주소 : link, MAC 주소

*글로벌 주소 : network, IP 주소

profile
World CHange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