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r-Network, '모든 컴퓨터를 하나의 통신망으로 연결한다.' 의 어원을 가지고 있으며
TCP/IP 프로토콜을 이용해 정보를 주고받는 컴퓨터 네트워크이다.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로 IP를 이용한 다른 호스트와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
서버 : 클라이언트에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
클라이언트 : 네트워크 상에서 서버에 정보를 요청하여 받는 호스트
ex. 컴퓨터, 스마트폰, iot ...
여러 host 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해 제공되는 네트워크
Access network들을 연결하는 network
첫번째 라우터(edge router) 에 연결시킴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스마트폰의 wifi, 컴퓨터의 랜선 => Access network에 접속
access network가 사용되는 환경에 따라, host를 인터넷에 연결시키는 방식이 나뉘어짐
*Home network(가정) : DSL, cable network, FTTH
*Enterprise network(기업) : Ethernet(랜선), Wifi, Cellular
네트워크 시스템의 중앙에 위치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
개인이나 기업체에게 인터넷 접속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
*링크 : 정보 전달 단위인 패킷을 전달하는 유무선 매체
ex. 동축케이블, 광케이블, wifi 채널
*스위치 : 입력 링크(디바이스)에서 수신한 패킷을 출력 링크(다른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장치
- 다수의 통신 장치를 통신 링크(ex.-)로 연결하는 장치
*AP(Access point) : 유선랜과 무선랜을 연결시켜주는 장치
*라우터 : 패킷의 위치를 추출, 지정한 최적 경로를 따라 패킷을 전송하는 장치
- 각각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더 큰 네트워크를 구축함
호스트들 간의 정보 교환(통신)을 정의하는 규칙
두 개의 호스트를 연결하고 데이터를 교환하게 해주는 네트워크 프로토콜
데이터와 패킷이 보내진 순서대로 전달하는 것을 보장
에러가 없이 패킷이 정확히 전달 되었는지 보장
호스트의 주소 지정과 패킷 분할 및 전달
지정한 IP 주소에 데이터 전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