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프로퍼티의 종류 데이터 프로퍼티(data property) 값을 저장하기 위한 프로퍼티이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프로퍼티이다. 접근자 프로퍼티(accessor property) 함수가 본질인 접근자 프로퍼티로, 프로퍼티를 읽거나 쓸때 호출하는 함수를 값 대신
생명주기 매서드는 클래스 기반 컴포넌트에 존재하는 메서드로 특정 시점에 호출되는 메서드이다.생명주기 메서드는 컴포넌ㄴ트의 마운트(mounting), 업데이트(updating), 마운트해제(unmounting) 시점에 따라 구분하며 모두 8개의 메서드가 존재한다.컴포넌트
1.Flux 개요 MVC 구조 MVC모델 M : Model / Data들을 관리하는 요소 V : View / 사용자에게 보여지는 요소 C : Controller /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컨트롤러를 통해 모델에 반영 MVC 구조의 데이터 흐음은 View와 Mode
상속이란 반복적인 코드를 작성하지 않고 코드를 재사용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따라서 코도를 재 사용함으로써 개발기간 단축과 편리한 코드작성을 할수있다.클래스 기반 언어 : Java, Python, Ruby, C++, C- 프로토타입 기반 언어 : Javascript, J
1. MobX의 적용 React와 MobX를 통한 UI를 위한 패키지구성 (기본) container : React Component로 구성하며 store와 React Component를 연결하는 역할 view : 순수 React Component로 구성하며 conta
SPA는 단일 페이지므로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URL을 입력하면 서버는 같은 페이지를 반환한다.JavaScript에서 페이지를 구성하고 이동하면 사용자가 브라우저를 새로 고침 하는 순간 처음 화면으로 돌아간다.페이지마다 주소가 없으므로 특정 페이지에 접속하기 힘들고 북마
웹, 앱 개발에서 포트, DB관련 정보, API_KEY등 git 이나 오픈소스에 올려서는 안되는 값들이다. 이때 필요한 것들은 dotenv 패키지 이며 환경변수 파일을 외부에 만들어 URL, 포트, API_KEY등을 저장시켜 소스코드 내에 하드코딩하지않고도 사용하게 하
세션 기반 인증과 토큰 기반 인증의 차이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서버에서 처리하는 데 사용하는 대표적인 두가지 인증 방식이있다. 세션 기반인증 토큰 기반인증 세션 기반 인증시스템 세션 기반인증은 쉽게 서버가 사용자가 로그인 중임을 기억하고있다는 뜻이다. 세션 기반
1. URL파라미터와 쿼리스트링 페이지 주소를 정의할때 가끔은 유동적인 값을 사용해야 할때가 있다. URL 파라미터 예시 : /mypage/jin 쿼리스트링 예시 : /mypage?**page=1&keyword=react URL파라미터는 주소의 경로에 유동적인 값을
웹서버가 웹 브라우저에게 보내어 저장했다가 서버의 부가적인 요청이 있을때 다시 서버로 보내주는 문자열 정보이다.웹페이지 방문시 방문 기록 등 브라주에서의 정보들이 저장된 텍스타파일웹에서 요청마다 매번 연결과 해제가 되면서 요청마다 새로운 사용자로 인식되는 단점이 있지만
서버에서 만들어 준 토큰은 서명이 있기 때문에 무결성이 보장된다. 무결성이란 정보가 변경되나 위조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데, 따라서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면 서버에서 사용자에게 해당 사용자의 정보를 지니고 있는 토큰을 발급해주고, 추후 사용자가 다른 API를 요청하게 될때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이란 서버/클라이언트 모델을 따라 데이터를 주고 받기위한 프로토콜이다. HTTP는 인터넷에서 하이퍼 텍스트를 교환하기 위한 통신 규약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하고있다. 따라서 HTTP서버가 80번 포트에서 요
1. axios - interceptors axios interceptors는? axios interceptors는 then,또는 catch 로 처리되기전에 request 나 response로 어떠한 작업을 수행할수있게한다. axios.interceptors 는 보통
useVallback()은 함수를 메모제이션하기 이해서 사용되는 hook함수이다. 첫번째 인자로 넘어온 함수를, 두번째 인자로 넘어온 배열내의 값이 변경될 때까지 저장해놓고 재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예로, 어떤 React 컴포넌트 함수안에 함수가 선언이 되어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