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의 책을 보고, 이번 방학 중 RTOS를 qemu로 실습해보고자 한다.별도의 개발보드를 요구했던 저자의 저번 책과 달리, 이번 책은 qemu에 대해 다루며,나의 부족한 ARM 및 OS단의 세부지식을 구현을 통해 채워갈 수 있다는 기대때문이다.환경: 윈도우10 WSL
컴파일러 설치 ABI란: Application Binary Interface Application 역할: 바이너리 수준에서 애플리케이션이 호환가능하도록 만든 인터페이스. '바이너리 수준'은 컴파일이 완료된 오브젝트 파일을 의미. 따라서, ABI는 링커가 오브젝트 파일

0001 e1a0 는 MOV R0, R1이다.그 뒤 쭉 0이 나오는데,\* 표시는 앞의 값(0)이 계속 반복된다는 뜻.404로 끝나는데, 0x00000400까지 계속 0이라는 뜻.(ARM은 4바이트 단위로 주소를 관리한다)0x400 == 0d1024이므로 이는 맞다.Q