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NS3 설치

wera4677·2025년 5월 20일
0

리눅스

목록 보기
11/23

GNS3

  • 네트워크 에뮬레이터.
  • 패킷트레이서는 예측만 하는것이고, GNS3는 ‘마치 실제로 존재하는 것처럼’ 동작한다.

크랙을 위해 방화벽과 실시간보호를 비활성화

















  • 절대 업데이트 하지말아야한다.

라우터 추가







  • 슬롯 추가
  • 이후 apply 및 ok를 한다.
  • 라우터가 생긴걸 확인 가능

  • CPU 최적화

콘솔프로그램(secureCRT) 등록


C:\Program Files\VanDyke Software\SecureCRT
# 여기에

  • 위 파일을 크랙해야함.
  • 크랙을 잘 했다면, 위 경로의 파일을 실행을 시켰을때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뜬다.
  • ok를 누르면
  • 이렇게 실행이 된다.


  • 회색바탕의 putty 화면이 아니라 위와 같은 창이 떠야 한다.

GNS3-VMware 네트워크 연동

  • all devices 클릭

  • cloud = 내부에 보이지 않는 무언가가 있다.
  • 연결
  • 각각의 아이콘들의 의미
  • 개념적으로 위 그림과 동일하다.

R1의 f0/0 에 어떤 대역 혹은 어떤 범위의 IP를 설정할까?

211.183.3.xx를 넣으면 되는데 피해야 하는 아이피?

.1 : host-connection으로 쓰이고 있기때문에 사용 불가.
.2 : NAT라는 대역의 외부와 통신하기위한 GW로 쓰이고 있기때문에 사용불가.

R1의 f0/0을 211.183.3.10 /24로 설정해 보자.

  • 이 그림의 보이지 않는 부분을 그려보면 아래와 같다.

업로드중..

 **공인아이피를 헷갈릴필요가 없는 이유!**
 - 우리가 vmnet8에서 쓰는 대역은 공인아이피 대역이고, 내 노트북 내부에만 존재한다
 -  추가적으로 vmnet8을 벗어나 노트북밖으로 나갈때 NAT가 되고, 또한 노트북이 속한 WIFI 네트워크에서 공인대역으로 나갈때도 NAT가 되므로 실제로 존재하는 공인아이피와 충돌이 생길일은 없다.
profile
클라우드 꿈나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