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FS
-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다른 컴퓨터가 파일 시스템을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파일 공유 프로토콜입니다.
- 원격지에 존재하는 파일을 마치 내 로컬 파일인 것처럼 사용가능
- 기본포트 TCP 2049포트 (추가적으로 RPC 111 포트)
- 추가적으로 데이터를 송수신 할때 랜덤하게 포트가 부여


- 윈도우에서는 Plug & Play를 통해. 장치를 연결하기만 하면, 그 장치에 접근하기 위한 논리적인 경로가 자동으로 생성이 되어 매칭이 된다.(=마운트)

- 리눅스는 일반적으로 수동으로 마운트를 다 해줘야 함.
- df(disk free) -h : 디스크 상태를 보여줌. 휴먼이 읽기편하게(K,M,G 기호를 붙여서)
NFS 구축

NFS Server 구축

- 스토리지 빼고 나머진 다 동일.
- 호스트네임 srv3 , IP = 211.183.3.30 /24

- 내가 원하는건 SELINUX=enforcing을 찾아서 SELINUX=disabled로 바꾸고 싶다.
sed 명령어
- 문자열을 검색해서 치환하는 명령어. 편집기로 수정할 수 없는 경우, 스크립트를 짤때 유용.

- -i : 영구적으로, s : 대체 , g : 모두
- 구분자는 다른 특수문자(@,#,$ 등으로 대체 가능)
[root@srv3 ~]# mkdir /shared
리눅스 권한




[root@srv3 ~]# yum install -y nfs-utils
# NFS 서버 클라이언트 기능이 다 들어있는 패키지 설치
# 클라이언트만 따로 있는 패키지 = nfs-common (우분투의 경우)
[root@srv3 ~]# vi /etc/exports
# nfs로 공유할 대상을 설정하는 파일.

- /shared라는 디렉토리를 NFS로 공유를 하겠다. 대상은 211.183.3.0 /24 이고, 읽고 쓸수 있는(rw) 권한을 주겠다.
[root@srv3 ~]# exportfs -r
# 설정값 반영.
[root@srv3 ~]# systemctl restart nfs-server
[root@srv3 ~]# systemctl enable nfs-server
# nfs 서버 동작.

NFS client 구성

[root@srv1 ~]# yum install -y nfs-utils
# nfs 클라이언트 역할 패키지 설치.





- srv3의 /shared에 아까 만든 파일이 보인다.

[root@srv1 ~]# init 6
# 재부팅

[root@srv1 ~]# vi /etc/fstab
# File System TABle : 재부팅시에도 마운트가 유지 되도록하는 설정파일.
# 되도록이면 열을 맞춰주세요(탭

- 앞에 3개의 항목만 중요하고, 뒤에 3개는 통상적으로 써준다고 생각하면 좋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