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설정

wera4677·2025년 5월 17일
0

리눅스

목록 보기
7/23

네트워크 설정

  • 네트워크 설정 파일들이 모여있는 경로

  • 네트워크장치마다 스크립트 파일이 존재해야한다.
ex)
ens33이라는 장치를 추가했다면
=> ifcfg-ens33이라는 파일도 존재를 해야하고, 그 설정값도 적절하게 구성되어있어야 한다.

반대로 만약에 설정파일이 존재한다면 그에 맞는 장치도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면좋다.

=> 따라서 네트워크 스크립트 폴더에서 실수로 새로운 파일을 만들게 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root@web ~]# vi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32

  • UUID가 없다면 그냥 만들지 않아도 된다.
  • 동그라미표시는 꼭 설정을 해주는게 좋다.
  • 필요없는설정은 ‘#’으로 주석처리도 가능하다.

  • 띄어쓰기같은 단어가 있다면 꼭 쌍따옴표나 따옴표로 묶어줘야한다.

  • 변경한 값을 반영시키지 않았기때문에 ip를 조회해도 같다.

  • xshell의 세션에 아이피를 수정해준다.

  • 변경된것을 확인가능

  • systemctl status network
  • 간단한 로그 확인 가능

  • top라는 명령어를 치면 현재 내 리소스에 대한 실시간 정보가 뜬다(윈도우의 작업관리자).
  • 대표적인 포어그라운드(foreground)의 사례. top라는 프로세스가 내 화면을 ‘점유’했다.
  • 다른 명령을 칠 수 없음.
[root@web ~]# systemctl enable --now firewalld

- enable --now = start + enable 효과.
=> restart(반영)은 안될 수 있음. 되도록이면 restart하고 enable로 하는게 정확하다.

  • -y를 통해 C패키지를 설치하기 위한 의존성 패키지 설치 여부에 대한 질문에 ‘yes’로 응답.
profile
클라우드 꿈나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