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념
한 장을 뽑아 앞 자료들과 비교하며 제자리를 찾아간다.
구체적인 개념
- 삽입 정렬은 두 번째 자료부터 시작하여 그 앞(왼쪽)의 자료들과 비교하여 삽입할 위치를 지정한 후 자료를 뒤로 옮기고 지정한 자리에 자료를 삽입하여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 즉, 두 번째 자료는 첫 번째 자료, 세 번째 자료는 두 번째와 첫 번째 자료, 네 번째 자료는 - 세 번째, 두 번째, 첫 번째 자료와 비교한 후 자료가 삽입될 위치를 찾는다. 자료가 삽입될 위치를 찾았다면 그 위치에 자료를 삽입하기 위해 자료를 한 칸씩 뒤로 이동시킨다.
예시
배열에 8, 5, 6, 2, 4가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자료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보자.

코드
def insertionSort(arr):
n = len(arr)
for i in range(1,n):
key = i
for j in range(i-1,-1,-1):
if arr[key] <= arr[j]:
arr[key], arr[j] = arr[j], arr[key]
key = j
arr = [8, 5, 6, 2, 4,1,3,7,9]
insertionSort(arr)
print(arr)
특징
- 장점
- 안정한 정렬 방법
- 레코드의 수가 적을 경우 알고리즘 자체가 매우 간단하므로 다른 복잡한 정렬 방법보다 유 리할 수 있다.
- 대부분위 레코드가 이미 정렬되어 있는 경우에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 단점
- 비교적 많은 레코드들의 이동을 포함한다.
- 레코드 수가 많고 레코드 크기가 클 경우에 적합하지 않다.
시간복잡도
최선의 경우
비교 횟수
- 이동 없이 1번의 비교만 이루어진다.
- 외부 루프: (n-1)번
- Best T(n) = O(n)
최악의 경우(입력 자료가 역순일 경우)
비교 횟수
- 외부 루프 안의 각 반복마다 i번의 비교 수행
- 외부 루프: (n-1) + (n-2) + … + 2 + 1 = n(n-1)/2 = O(n^2)
교환 횟수
- 외부 루프의 각 단계마다 (i+2)번의 이동 발생
- n(n-1)/2 + 2(n-1) = (n^2+3n-4)/2 = O(n^2)
- Worst T(n) = O(n^2)
[출처]https://gmlwjd9405.github.io/2018/05/06/algorithm-insertion-sort.html
정렬 알고리즘 시간복잡도 비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