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탐욕법 - 구명보트

이환희·2021년 9월 2일
0

Algorithm

목록 보기
34/47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5

문제 설명

무인도에 갇힌 사람들을 구명보트를 이용하여 구출하려고 합니다. 구명보트는 작아서 한 번에 최대 2명씩 밖에 탈 수 없고, 무게 제한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의 몸무게가 [70kg, 50kg, 80kg, 50kg]이고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이 100kg이라면 2번째 사람과 4번째 사람은 같이 탈 수 있지만 1번째 사람과 3번째 사람의 무게의 합은 150kg이므로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을 초과하여 같이 탈 수 없습니다.

구명보트를 최대한 적게 사용하여 모든 사람을 구출하려고 합니다.

사람들의 몸무게를 담은 배열 people과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 limit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사람을 구출하기 위해 필요한 구명보트 개수의 최솟값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무인도에 갇힌 사람은 1명 이상 50,000명 이하입니다.
  • 각 사람의 몸무게는 40kg 이상 240kg 이하입니다.
  •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은 40kg 이상 240kg 이하입니다.
  • 구명보트의 무게 제한은 항상 사람들의 몸무게 중 최댓값보다 크게 주어지므로 사람들을 구출할 수 없는 경우는 없습니다.

풀이

나는 이 문제를 다음 3가지 방법으로 풀었다.

첫번째 풀이

def solution1(people, limit):
    answer = 0
    people.sort(reverse=True)
    while people:
        person = people.pop()
        for i in range(len(people)):
            if people[i] + person <= limit:
                people.pop(i)
                break
        answer += 1

    return answer

먼저 사람들을 무거운 순으로 정렬하고
가장 가벼운 사람을 person으로 뺀다음
person과 맨 앞부터 하나씩 구명보트에 탈 수 있는지 검사를 한 뒤
탈 수 있으면 해당하는 사람도 같이 pop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이 경우 가운데 사람을 pop하는 방식이라 그런지 효율성 테스트에서 시간초과가 발생한다.

두번째 풀이

질문하기 게시판에서 힌트를 얻어서 푼 풀이법이다.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def solution2(people, limit):
    answer = 0
    people.sort(reverse=True)  # 무거운 순으로 정렬
    dq = deque(people)
    while dq:
        first = dq[0]  # 맨앞
        last = dq[-1]  # 맨뒤
        if first + last <= limit and len(dq) >= 2:
            dq.popleft()
            dq.pop()
        else:
            dq.popleft()
        answer += 1

    return answer

무거운 순으로 정렬하고
맨 앞과 맨 뒤를 묶어서 보낼 수 있으면 보내고
못 보내면 무거운 사람만 보낸다

세번째 풀이

두번째 풀이로 풀어보고 해당 힌트를 준 사람은 어떻게 풀었나 보고 따라 풀어 보았다.

import math

def solution3(people, limit):
    answer = 0
    people.sort(reverse=True)  # 무거운 순으로 정렬
    first = 0
    last = len(people)-1
    while first <= last:
        if people[first] <= limit/2:
            answer += math.ceil((last-first + 1)/2)
            break
        answer += 1
        if people[first] + people[last] <= limit:
            first += 1
            last -= 1
        else:
            first += 1

    return answer

두번째 풀이법이랑 똑같으나 인덱스로 접근한다.
가장 맨앞의(무거운) 사람의 무게가 limit의 절반 이하가 되면 무조건 맨 뒤의 사람과 묶을 수 있으므로 boat = 사람수 / 2 가 되어 answer에 추가해준다.

나는 인덱스로 접근해서 세번째 풀이가 가장 빠를 것이라 생각했는데
의외로 내가 푼 방법인 두번째 풀이가 가장 빨랐다.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