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200326

조양권·2021년 5월 18일
0

TIL

목록 보기
22/24

1. 오늘

  • pymysql의 사용법을 익혔다.

1)pymysql로 내 mysql에 연결한다.

  • cursor설정을 해준다.
  • 연결한 DB와 상호작용하기 위해 cursor객체를 생성해주어야 한다. 데이터 분석가에게 익숙한 데이터프레임 형태로 결과를 쉽게 변환할 수 있도록
    딕셔너리 형태로 결과를 반환해주는 DictCursor를 사용한다.

2) 테이블생성

  • 삽입, 갱신, 삭제 등이 모두 끝났으면 Connection 객체의 commit() 메서드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Commit한다.
conn.commit()
  • Connection 객체의 close() 메서드를 사용하여 DB 연결을 닫는다.
conn.close()
  • 해당 table을 heidisql에서 본 모습

3) 내용 insert

  • 해당 table을 heidisql에서 본모습
  • 테이블을 생성할때 해당 값의 자료형을 미리 정할 수 있다. 이중 VARCHAR(M)과 CHAR(M)은 둘다 문자형 자료이지만 CHAR(M)타입은 고정사이즈이다. 예컨데 CHAR(10)이라면 10Byte를 넘어가면 해당 문자는 잘리게 돼지만, 그 이하라면 항상 10Byte로 용량이 고정된다.
  • VARCHAR(10)은 문자 가변사이즈로써, 10Byte를 넘으면 해당문자가 잘리게 되는건 같지만 그 이하의 사이즈라면 해당 용량만 잡아먹게 된다.
  • 주민등록번호나 핸드폰번호같이 고정된 사이즈라면 CHAR이 시간적으로 효율성이 뛰어나겟지만, 용량이 가변적인 상황이라면 VARCHAR를 사용하는게 용량적으로 효율적이다.
profile
할 수 있는 것이 늘어나는 즐거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