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eep going
앞으로 블로그 내용들은 강의를 보고 메모장에 내 방식대로 적은 것 중에 중요하게 생각한 것들만 업로드할 예정.
int
👉 정확한데이터값float
👉 중간에 짤림문자(열) : str
ex) "안녕하세요"
논리형 : bool
ex) True, False
type()
: 변수의 타입을 보여준다True 정수변경 : 1 / Flase 정수변경 : 0
True : on / Flase : off
""
(데이터 없음) - Flase / " "
(공백 데이터 있음) - True 👉 둘다 str
input()
함수를 이용해서 입력한 데이터는 항상 str형
그렇기 떄문에 연산을 할 경우 앞에 int(input())
이런식으로 붙여줘야 함
input ( ) 안에 문구는 안내문구로 주로 사용
print (f"User name : {userName}")
print ("User name : {}".format())
print ("User name : {}, User age : {}.format(userName, userAge))
👆 순서대로 값이 들어간다
%s
-> 문자열
%d
-> 정수
%f
-> 실수
print ("User name : %s, User age : %d" % (userName, userAge))
👆 여러개 쓸 떄는 % 하고 ()로 묶고 순서대로 나열
print ("pi : %.2f % 3.141592) 👉 pi : 3.14
%
= 나머지만 구하고 싶을 때 👉 10 % 3 = 몫3 나머지1//
= 몫만 구하고 싶을 때 👉 10 % 3 = 몫3 나머지1👇몫과 나머지 한 번에 구하기 = divmod
result = divmod(num1, num2) -> num1 / num2 -> (index[0],index[1])
이때 index[0] 자리는 몫, index[1] 자리는 나머지
print ("result : {}".format(result))
print ("result[0] : {}".format(result[0]))
n의 m제곱근 공식 : n ** (1/m)
👉 2의 3제곱 = 어떤수를 3번 곱했더니 2가 나왔다.
import math
를 일단 들어간다.
math. sqrt()
: 항상 제곱근만 구해준다
👉 3제곱근, 4제곱근은 못 구함 (구하고싶으면 위에 공식 사용해야함)
ex) math.sqrt(3) -> 1.73205~ print("3의 제곱근 : %.2f" % math.sqrt(3))
math. pow()
: 거듭제곱을 구해준다math. pow(2, 3)
👉 2의 3승strResult = format(after12Month, ",")
👉 1000단위씩 끊는 콤마 넣게되면 str으로 바뀜
+=
: 덧셈 연산 후 할당
ex) num1 = num1 + 5 👉 num1 += 5
-=
: 뺼셈
ex) num1 = num1 - 5 👉 num1 -= 5
*=
: 곱셈
/=
: 나눗셈
%=
: 나머지
//=
: 몫
**=
: 거듭제곱
num1 > num2
: num1이 num2보다 크다
num1 >= num2
: num1이 num2보다 크거나 같다
num1 < num2
: num2가 num1보다 크다
num1 <= num2
: num2가 num1보다 크거나 같다
num1 == num2
: num1 과 num2가 같다
num1 != num2
: num1 과 num2는 같지 않다
📝 print ("{} > {} : {}".format(userInputNumber1, userInputNumber2,userInputNumber1 > userInputNumber2))
👉 format을 쓰면 {}에 ()안에 있는 순서대로 들어간다.
외울 필요없이 필요할 때 마다 인터넷에서 검색해서 사용
cha1 = "A" #65
cha2 = "S" #83
ord
-> 문자를 10진수로 변환
chr
-> 숫자를 문자로 변환
and
: print ("{ } and { } : { }".format(True, True, True and True))
or
: print ("{ } or { } : { }".format(True, False, True or False))
not
: print ("not { } : { }".format(True,(not True)))
모듈 : 누군가 이미 만들어 놓은 훌륭한 기능 (종류많음)
import operator
: 치고 operator 모듈로 들어가서 사용
- and : operator.and_( ) 둘다 True 일 경우 -> True
- or : operator.or_( ) 하나만 True 일 경우 -> True
- not : operator.not_( ) 결과 반대로
print ("알바비 : {:,d}원".format(partTimeMoney))
:,d
👉 정수 1000단위 마다 ,
적용✔ ctrl + / = #
안될때 ctrl + shift 눌러라
✔ \n
= 엔터(내려쓰기)
✔ \t
= 탭(4칸 띄어쓰기)
✔ , end=" "
: print를 사용할 때 자동개행을 막고 아래행을 붙여줌
✔ num1 = 10;
num2 = 5 👉 엔터 말고 ;로 사용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