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정리

조지원·2023년 5월 20일
0

python

목록 보기
9/15

💡 키 값, 벨류값

키(key)는 고유한 식별자로서, 해당 값(value)을 찾을 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딕셔너리(dictionary)에서 키는 해당 값을 찾기 위한 레이블이라고 할 수 있고, 각 키는 딕셔너리 내에서 고유해야 하며, 중복될 수 없다.

값(value)은 해당 키와 연결된 데이터
딕셔너리에서 값은 키와 짝지어져 있으며, 각 키는 하나의 값과 연결된다.
이러한 키-값 쌍은 하나의 아이템(item)으로 묶일 수 있다.

학생의 이름과 그들의 나이를 포함하는 딕셔너리의 예시

student_dict = {
    "Alice": 20,
    "Bob": 21,
    "Charlie": 22
}

위 딕셔너리에서 "Alice", "Bob", "Charlie"는 모두 키이며, 각각 20, 21, 22는 해당 키와 연결된 값이다. 이를 통해 이름을 키로 사용하여 해당 학생의 나이를 찾을 수 있다.



💡 리스트, 인덱스

리스트는 일련의 값(value)을 포함하는 순서가 있는 컬렉션

리스트의 각 항목은 인덱스(index)로 식별된다.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하며, 각 항목은 해당 인덱스로 식별된다.

fruits = ["apple", "banana", "cherry"]

위 리스트에서 "apple"은 0번 인덱스, "banana"는 1번 인덱스, "cherry"는 2번 인덱스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리스트의 각 값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키(key)와 값(value)은 데이터를 구조화하고, 찾기 쉽게 만드는 데 사용된다.



💡 초기화, 생성자

객체를 생성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해당 객체의 속성들을 먼저 정의해줘야 한다. 이것을 초기화(initialization) 또는 생성자(constructor)라고 한다.

객체의 속성들은 객체가 생성될 때 마다 각기 다른 값으로 초기화될 수 있기 때문에, 초기화를 통해 각 객체의 속성을 초기값으로 설정해주는 것이 중요함!



💡 while문 의미 요약

n = 1
while n <= inputN:

의 의미를 요약

  • n을 1로 초기화한 다음 n이 inputN보다 작거나 같을 때까지 루프를 실행

  • 각 루프에서 n은 1씩 증가

  • 루프는 n이 inputN보다 커지면 종료

  • n <=inputN은 n이 inputN보다 작거나 같을 때만 참

  • 예를 들어, inputN이 5이면 루프는 1, 2, 3, 4, 5의 5번 실행



💡 01.질문 :

self.members[mk] 는 딕셔너리에서 mk 키(key)에 해당하는 값(value)을 반환

🔥 답 :

self.members라는 딕셔너리가 아래와 같다고 가정

self.members = {
    "user1": Member("user1", "password1"),
    "user2": Member("user2", "password2"),
    "user3": Member("user3", "password3")
}

위 딕셔너리는 Member 객체를 값으로 갖고 있으며, 각 Member 객체의 id 속성은 해당 딕셔너리의 키(key)로 사용되었다.

즉, "user1", "user2", "user3"이라는 문자열(string)이 각각의 키(key)가 되고, Member("user1", "password1"), Member("user2", "password2"), Member("user3", "password3")가 각각의 값(value)이 된다.

따라서, self.members["user1"]은 Member("user1", "password1")을 반환하게 된다. 나머지도 마찬가지!

딕셔너리에서 키(key)값으로 특정 값을 넣어 해당 값을 찾을 때도 마찬가지.

예를 들어, self.members["user1"].id는 "user1"을 반환하며, self.members["user1"].pw는 "password1"을 반환한다.
이렇게 딕셔너리에서 키(key)를 사용하여 값을 찾는 것을 인덱싱(indexing)이라고 한다.



💡 .에 대하여

Python에서는 객체(Object) 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므로, 클래스를 정의하고 클래스의 속성(attribute)과 메서드(method)를 정의할 수 있다.

이 때 속성이나 메서드의 이름은 사용자가 마음대로 지정할 수 있으며, 속성이나 메서드의 이름 뒤에 점(.)을 찍고 해당 속성이나 메서드를 호출하면 된다.

따라서 .isbn이라는 코드는 Book 클래스의 속성 중 하나인 isbn을 참조하는 것.

이 속성은 Book 클래스의 인스턴스 객체에 저장되어 있으며, b.isbn과 같이 표현된다.

하지만 이 코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려면 Book 클래스 내부에 isbn이라는 속성이 반드시 정의되어 있어야 한다.



profile
keep going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