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는 여러 개의 네트워크 기기를 기반으로 구축된다.
네트워크 기기의 처리범위
- 네트워크 기기는 계층별로 처리범위를 나눌 수 있다.
- 상위계층을 처리하는 기기는 하위 계층까지 처리할 수 있지만 그 반대는 성립되지않는다.
계층별 주요 네트워크기기 (OSI 7계층기준)
- 애플리케이션계층(7계층) : L7스위치
- 전송계층(4계층) : L4스위치
- 인터넷/네트워크계층(3계층) : 라우터, L3스위치
- 데이터 링크 계층(2계층): 브릿지, L2스위치
- 물리 계층(1계층) : NIC, 리피터, AP
L뒤에 붙는 숫자는 OSI 7계층상에서 계층을 뜻한다. L7스위치 -> Layer7(애플리케이션계층)계층에서 동착하는 스위치
스위치
- 네트워크 회선과 서버 컴퓨터를 연결하는 네트워크 장비
- 연결된 장비들의 IP와 MAC주소를 모두 저장하고있다.
- 특정 장치에서 패킷이 오면 해당 패킷의 목적지를 파악하여 관련된 장치가 꽂힌 포트로 패킷을 보낸다.
- 목적지가 없는 패킷을 받게되면 해당 패킷을 모든패킷에 뿌려버린다는 단점이 있다.
L4 스위치
- OSI 4계층인 전송계층에서 동작하는 스위치
- 외부에서 들어오는 모든요청(트래픽)을 먼저 받아 내부 서버에 적절히 분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 이를 로드밸런서 라고 한다. 서버에 가해지는 부하를 분산시키는 장치 혹은 기술.

- ip와 포트 기반으로 트래픽을 분산시킨다.
L7 스위치
- OSI 7계층인 애플리케이션계층에서 동작하는 스위치
- 로드밸런서 라고도 불린다.
- 시스템이 처리할 수 있는 트래픽 증가를 목표로하는 기기.
- 7계층 HTTP의 URL, 서버, 캐시, 쿠키정보 및 바이러스 패턴을 분석하여 보안에 보다 더 유리하고 정교한 로드 밸런싱이 가능하다
L4/L7스위치에 관한 더 자세한 비교 및 고려사항 - http://blog.skby.net/l4-%EC%8A%A4%EC%9C%84%EC%B9%98%EC%99%80-l7-%EC%8A%A4%EC%9C%84%EC%B9%98-%EB%B9%84%EA%B5%90/
헬스체크
L4/L7스위치 상에서 서비스하는 그룹의 서버에 장애가 발생했을때 각 서버의 서비스를 주기적으로 체크,
정상/비정상 서버를 판별하여 정상적인 그룹의 서버에만 트래픽 부하분산 비정상적 그룹의 서버는 제외해서 트래픽을 보내지 않는것으로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기위한 방법.
라우터

- 인터넷계층/3계층을 처리하는기기중 하나.
- 여러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 분할, 구분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 "서로 다른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장치끼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패킷 소모 최소화, 경로 최적화, 최소경로로 패킷을 포워딩"하는 라우팅을 하는장비.
라우팅
네트워크안에서 통신데이터를 보낼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 스위치처럼 연결된 장치들의 주소를 갖고있다는점은 물론 네트워크상 자신과 연결된 가장 가까운 다른라우터의 주소또한 저장할 수 있다.
- 스위치와는 달리 패킷의 출발지 주소를 알 수 있다.(내외부네트워크 판별)
- 목적지가 없는패킷을 받게되면 스위치와는 달리 자신과 연결된 가장 가까운 라우터의 주소로 보낸다는 차이점이있다.
L3스위치
- 인터넷계층/3계층을 처리하는기기
- L2스위치에 라우팅 기능이 추가된 장비
- MAC주소및 IP주소를 읽어들인다.
- 같은 계층을 처리하는 기기인 라우터와 비교해보면 라우터는 소프트웨어기반의 라우팅을, L3스위치는 하드웨어기반의 라우팅을 한다는 차이점이 있다.
- 요즘은 기술의 발달로 인해 L3스위치와 라우터간의 차이가 거의 없다고봐도 무방하다고한다.
관련링크 - https://blog.naver.com/nackji80/220228728915
L2스위치

- 데이터링크계층을 처리/담당하는 기기
- 들어온 패킷의 MAC주소를 읽어 목적지에 맞는 포트를 통해 해당장비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 다른방식의 스위치에 비해 저렴하다.
- IP주소를 받아들이질 못하므로 IP주소를 통한 라우팅이 불가능하다.
- Broadcast 패킷에 의한 성능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 연결된 모든네트워크기기에 해당패킷을 전달하는 것.
브리지


-
데이터링크 게층에서 여러개의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분리및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세그먼트
네트워크에서 특정한 범위의 장치들이 통신할 수 있는 네트워크 영역을 나타낸다.일반적으로 IP 주소의 서브넷 마스크를 기준으로 분할된 네트워크를 세그먼트라고 한다.
-
전달받은 MAC주소와 브릿지 내 MAC주소를 비교해 MAC주소테이블에 주소이면 해당포트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다만 없는주소(목적지가없는주소)면 송신했던 포트를제외하고 모든포트로 보낸다.
-
포트와 포트사이의 다리역할. 서로다른 LAN을 상호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망 연결장치.
NIC(Network Interface Card)

- 물리계층을 처리하는 기기중하나
- LAN카드, 이더넷카드,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불린다.
- 컴퓨터 시스템과 네트워크 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장치.
- 데이터를 컴퓨터와 네트워크 사이에서 전송하는 역할.
-데이터 분할, 재조립, 오류검출, 재전송등을 처리한다.
- 고유한 MAC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상에서 식별할때 사용한다.
- 현재는 메인보드에 필수적으로 내장될정도로 대중화된 상태, 그럼에도 따로 쓰인다면.
- 메인보드가 구형이라 기가비트 랜지원을 안해서 기가비트 랜카드가 필요할때
- 무선으로 네트워크를 사용하기위해 무선랜카드가 필요시
- 서버에의한 고성능 작업(내장랜만으로 감당이 어려울시)
- 10기가비트랜카드등의 특수목적용
리피터

- 물리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 LAN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을 확장, 서로 연결하는데 주로사용
- 신호를 수신시 신호를 증폭시킨후 다음구간으로 재전송하는 장치다
- 전자기장 확산이나 케이블 손실로 인한 신호감쇠를 보상해주기 때문에 다수의 리피터를 사용하여 신호를 먼거리까지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다.
- 요즘은 광케이블 혹은 다른 네트워크 장비가 리피터 기능도 지원하기에 많이쓰이지않는다.
AP(Access Point)
- 물리계층을 처리하는 기기
- 유선랜의 유선신호를 무선으로 변경해주는 것.
- 일반 무선 공유기는 한개의 IP로 여려명이 네트워크를 사용 할 수 있지만 AP는 건물의 각 층과 사무실 별로 설치시, 사무실 내에서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하다.
- AP내부엔 NAT기능이 없으므로 공유기 및 라우터등에서 IP를 가져와야된다.

면접예상질문
- 로드밸런서란 무엇인가요?
- L4로드밸런서와, L7로드밸런서의 차이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 리피터,브릿지,라우터에 대해 설명하시오.
- L2,L3스위치에 대해 설명하시오.
참고자료
https://siahn95.tistory.com/157
https://siahn95.tistory.com/161?category=860283#스위치%28Switch%29란%3F-1
https://blog.naver.com/bizblocklll/222149701305
https://m.blog.naver.com/twers/50118680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