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도메인 구매
- aws 접속 및 로그인 후 , route 53의 [등록된 도메인]에서 [도메인 등록]을 클릭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74bf9656-5267-4549-baf3-c3cb1dcffb44/image.png)
- 원하는 도메인을 입력하고 검색한 후 마음에 드는 가격과 이름을 가진 도메인을 장바구니에 추가하고 [계속]을 클릭한 뒤 연락처를 입력하고 또 [계속]을 누른다. 약관을 확인하고 최종 주문을 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11b64b3d-ff1d-4e1a-bd2b-aa6489875435/image.png)
- 도메인 등록에 성공할 때까지 대기 한다.
(2) ACM 발급
- 도메인 등록이 성공하면 아마존에서 무료로 발급해주는 SSL 인증서를 발급받을 수 있다.
- AWS 메뉴에서 Certificate Manager 에 접속한 뒤 [인증서 요청]을 클릭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4f3ebfb5-4888-4863-8b8e-a987f9a178e2/image.png)
- 다음을 클릭하고, 구매했던 도메인 이름을 그대로 적는다.
*.도메인이름
과 같이 와일드 카드를 적용할 수 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7002d33b-7a8f-436c-9468-82eadbf2a6bc/image.png)
- 인증서를 생성하고 나서는 [인증서 나열] 페이지에서, 새로 생성된 해당 인증 ID를 클릭한다.
- 그리고 도메인 영역에서, [Route 53에서 레코드 생성]을 클릭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a016068c-0f6e-4bb8-b300-10d3db465429/image.png)
- 구매한 도메인이 나오면 선택 후, [레코드 생성]을 클릭한다.
- 시간이 지나면 인증서가 발급된다.
(3) 로드밸런서 설정
- AWS의 서비스 메뉴에서 EC2를 선택한 후, 로드 밸런서를 클릭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751fb0d1-2ab2-4027-9ad3-cb9a3adc813a/image.png)
- [create load balancer]를 클릭한 뒤 [Application Load Balancer] 아래 [create]를 클릭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ce419a33-5130-4b3b-8f34-f6ca6fa06c33/image.png)
- 로드밸런서의 이름을 지정하고, [Network mapping] 영역에서는 인스턴스와 동일한 네트워크를 포함해 2개 이상의 영역을 선택한다. 잘 모르겠다면 일단은 4개 모두 선택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980f5d7c-6814-4504-b531-fef15406d6d5/image.png)
- 보안그룹 역시 EC2와 동일한 규칙으로 설정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45b8b11a-c487-41f5-a893-eead80f2747c/image.png)
- 그리고 HTTP 80포트와, HTTPS 443 포트를 설정할 건데, Default action 부분에서 [create target group]을 클릭해 대상 그룹을 만들어준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6e7dda3d-c9ad-48a8-8732-4154369384af/image.png)
- 타겟 그룹의 이름을 정해주고 [Next]를 클릭한 다음 로드밸런서를 적용할 인스턴스 선택 후 [Include as pending below]를 클릭한다음 [create target group]을 누른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ec49c1a3-0c36-484a-8d89-ac6f27dd3ad2/image.png)
- 동일한 방식으로 https 대상그룹도 만들어 준다.
- 이후 default action 부분에서 방금 생성한 대상그룹을 선택해준다.
- add listner를 클릭해 http, https 모두 생성해준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0958b488-cd8e-405e-a623-3988110bb6c1/image.png)
- 그리고 [create load balancer]를 클릭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c84fd53a-5fe4-4ea1-ac37-8cea412c638d/image.png)
- 생성된 로드밸런서를 클릭한 뒤, Listner 부분에서 https를 선택한 뒤 actions의 [add ssl certicates for sni]를 클릭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c4ede4a3-7ffb-4ac0-9182-e60e0c957de8/image.png)
- 이후 페이지가 이동 되면 발급받았던 인증서를 클릭한 뒤 [include as pending below]를 클릭한다. 그리고 [add pending certificates]
를 누른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958dbb95-3905-4f66-9e0a-e510c243daf1/image.png)
- 그리고 다시 로드밸런서의 listner 탭에서 http 혹은 https를 클릭한 뒤 Rule 영역에서 Manage rules를 클릭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3b1e548c-063a-44ca-af2a-0c35ee45cb8b/image.png)
- 규칙페이지 상단의 + 아이콘을 누르고, [규칙 삽입]을 클릭하여 아래와 같이 아마존 인증서를 발급받을 때 입력했던 도메인주소를 호스트헤더로 등록하고, 전달 대상은 http로 설정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5e6459dd-6f4b-4e6d-8801-87f542ecb6db/image.png)
- http 를 설정했다면 페이지 상단에서 https를 클릭해 이동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1b961a45-90bb-4d94-8e1e-2e7a86f9ee05/image.png)
- 아래와 같이 동일하게 설정해준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8844c997-06a7-455a-9bde-26000ed3f950/image.png)
(4) Nginx 설정
- 터미널을 열고 ssh 명령어로 ec2 에 접속한 뒤 아래 명령어를 입력해 nginx 설정파일을 연다.
cd /etc/nginx
sudo vim nginx.conf
- server {} 내부에 server_name은 구매했던 도메인 이름으로 변경해주고, 아래 if문을 추가해서 http 요청을 https로 리다이렉트 해준다.
server {
listen 80;
server_name *.we-manage.link; # 도메인 이름으로 변경
# HTTP 요청을 HTTPS로 리다이렉트
if ($http_x_forwarded_proto = 'http'){
return 301 https://$host$request_uri;
}
(5) Route 53 설정
- aws 서비스의 route 53 페이지로 이동한 뒤 호스팅 영역에서 도메인을 클릭한다.
- 그리고 [레코드 생성] 을 클릭해서 레코드 이름을 지정하고, 별칭 옵션을 클릭해 파란 불로 바꿔준 뒤, 트래픽 라우팅 대상을 아래처럼
Application/classic balancer
및 아시아 태평양(서울)
을 선택하고, 맨 아래칸에는 이전에 생성한 로드밸런서의 이름을 선택한 뒤 [레코드 생성]버튼을 누른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ijoonwu/post/6bed58d2-6fca-4092-809e-50a760fd50a5/image.png)
- 이후 도메인에 접속하면 http로 접속해도 https로 리다이렉트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