앱 개발 종합반 3주차

Clear·2022년 3월 25일
0

리액트 기초지식

1. Component

개발자가 쪼개서 관리하고 싶은 앱 화면의 일부분을 전부 Component라고 할 수 있는데, 쉽게 이해하면 user custom Tag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컴포넌트로 쪼개서 각각의 js파일로 옮겨 닮은 뒤 Tag형태로 메인 코드에 불러와서 사용하는 것. 나눠담기 그리고 메인 파일에 Tag로 불러오기

2. Props

component를 만들고 거기에 부여할 수 있는 속성이다.
이때 키와 밸류 형태로 쓴다. -> content={content}
컴포넌트를 반복문 돌릴 때는 map에 나오는 i를 key={i} 형태로 꼭 추가한다 <- 각 컴포넌트마다 고유하다는 것을 표현

3. userState

우리가 만드는 앱 화면은 userState의 데이터가 변경될 때마다 바뀐다. 실시간 데이터 변동을 보여주는 앱 화면에 최적화되어 있는 것이다.

UI = component(state)

UI(유저가 보는 화면)는 컴포넌트에 state의 데이터에 따라 달라진다.

4. useEffect

화면이 그려진 다음, 가장 먼저 실행되는 함수. 그냥 함수이름이다 쓰는 법도 다 정해져있다.
1) 화면이 그려진다
2) useEffect가 데이터를 준비한다
3) 상태 데이터가 업데이트 되었으니 화면이 다시 그려진다
이런 게 가장 흔한 순서이다.

그 외...

stack Navigator : 함수 걸어서 페이지를 이동시키는 것
staus bar : 위에 상태바 커스텀
등등등 배웠는데 코드 직접 쓰는 부분 너무 없이 죄다 복붙이라 안들어옴.
많은 내용이 담겨 있는 것은 맞지만, 그걸 다 담을 능력은 없었던 것으로 보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