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ress로 간단한 서버 만들기

Noma·2021년 8월 21일
0

Express란?

NodeJS를 이용해 서버를 빠르고 쉽게 구성할 수 있도록 만든 프레임워크이다.

서버란?

네트워크를 통해 정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장치를 의미한다. 쉽게 생각해서 클라이언트가 보내오는 request(요청)을 response(응답)해주기 위해 항상 켜져있는 고성능의 컴퓨터라고 보면 된다.

시작하기

  1. 프로젝트 폴더 생성 → $ cd <프로젝트>로 해당 폴더로 이동 → $ npm init으로 package.json 만들기
  2. (선택) 깃 연결
  • 폴더 안에서 $ git init
  • remote를 두려면 깃허브에 repository 생성 → $ git remote add origin <생성된 깃허브 repository URL> → 이후 변경사항들을 commit 해나가면 된다.
  1. 루트 디렉토리에 src폴더를, 그리고 그안에 서버를 만들 server.js 파일 생성하기

  2. NodeJS 기본 설정하기(nodemon, babel)에서 포스팅한 방법으로 server.js를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

  3. express 설치하기 → $ npm i express
    node_modules와 package-lock.json이 생성된다.

    • node_modules: npm으로 설치한 모든 패키지가 저장되는 장소로, 해당 패키지가 의존하고 있는 패키지들도 같이 설치된다.
    • package-lock.json : 패키지들을 버전을 안전하게 관리해줌 → 건드리지 X
  4. 루트 디렉토리에 .gitignore 생성 → .gitignore에 생성된 node_modules 추가
    ( 이유: 1. 용량이 크고, 2. package.json의 dependencies에 명시되어 있으면 $ npm i로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 )

그리고 server.js에 아래 코드를 작성한다.

import express from "express";

const PORT = 4000; 
const handleHome = (req, res) => {
    return res.send("Hello, world!");
};

app.get("/", handleHome);
const handleListening = () => console.log(`✅ Server listening on port ${PORT}`);
app.listen(PORT, handleListening);

먼저 설치한 express를 import 해오고, PORT 번호를 변수로 지정해주자. (이는 생략하고 app.listen()에 바로 넣어도 무방)

import express from "express";
const PORT = 4000;

포트 번호는 0에서 65536번까지 존재하지만, well-known port(0~1023번)는 이미 이용 중인 번호로 사용이 불가하다. 보통 4000, 5000, 8000, 8080?을 사용하는 것 같다.

그 다음 express app을 생성해주자. 보통 관습적으로 app이라고 칭한다.

const app = express();

테스트하기 가장 좋은 기본 주소 "/"에 라우트 핸들러를 설정해주자.

const handleHome = (req, res) => {
    return res.send("Hello, world!");
};
app.get("/", handleHome);

누군가 "/"주소로 접속한다면 (GET request를 보낸다면), 등록된 함수를 호출해준다.
라우트 핸들러(혹은 컨트롤러)는 request와 response라는 오브젝트를 express로부터 전달 받는다.

첫 번째 인자가 request, 두 번째가 response로 이름은 다르게 지정해도 되지만, 보통 req, res라고 한다. (두 가지는 필수적으로 지정해야함)
세 번째 인자로 next가 있지만, 생략 가능하다. 보통 컨트롤러가 미들웨어일 때 사용된다.

라우트 핸들러가 브라우저로부터 request를 받았으면 reponse를 리턴(응답)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브라우저가 하염없이 응답을 기다림

여기서 return을 생략하고 res.send("..")해도 되지만 응답을 하면 해당 함수를 나오게 되므로 쉽게 구분할 수 있게 앞에 return을 붙여주면 좋다.

  • Requset Object
    req 객체는 HTTP 요청을 나타내며 request query string, parameter, body, HTTP headers 등과 같은 속성을 갖는다. 한번 console.log(req)를 통해 출력해 무엇이 들어있는지 살펴보는 걸 추천한다.

  • Response Object
    res 객체는 Express app이 HTTP 요청을 받을 때 보내는 HTTP 응답을 나타낸다. 응답에 사용되는 각종 property와 method들이 존재하니 필요할 때마다 공식 문서를 참고해 사용해보도록 하자.

다시 코드로 돌아와서, 위에서 지정한 PORT로 app.listen()으로 서버를 열어주면 끝난다.

const handleListening = () => console.log(`✅ Server listening on port ${PORT}`);

app.listen(PORT, handleListening); // (포트번호,콜백함수)

이제 server.js 파일을 실행해주면 서버가 port 4000번을 통해 외부 요청들을 listen 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서버가 제대로 켜지면(연결,시작되면) 등록된 콜백함수가 실행된다.

결과 확인하기

여기까지하면 이제 http://localhost:<포트번호>로 요청을 보낼 수 있다.

콘솔에서 server.js를 실행해 서버를 키고, 브라우저 주소창에 localhost:4000을 입력해 접속해보자.

그러면 GET요청이 서버에 전달되고 app.get("/", handleHome);에 의해 해당 요청을 받아 handleHome을 실행한다. 즉 res.send("Hello, world!");로 브라우저에 "Hellow, world!"라는 응답을 보내게 되고, 브라우저는 이를 화면에 출력한다.

Response에는 수많은 method들이 존재한다. 그 중에 하나 res.send()를 이용해본 것으로, 나머지는 Express 공식사이트에 잘 나와있으니 참고해서 사용해보도록 하자. 바로가기

profile
오히려 좋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