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저리
이번주는 프로젝트 첫주라 유저플로우와 와이어프레임을 설계하고, 코드/커밋 컨벤션등을 정하느라 많은 시간이 걸렸다... 멘토님이 코드는 최대한 늦게칠수록 좋은거라고 하셨지만 1주차 구현 항목이 생각보다 많아서 마음이 자꾸 초초해지는 건 어쩔수 없는 것 같다 😂 (사실 딴짓만 안하면 시간이 부족하지는 않을텐데....)
같은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팀원들이 있으니까 하다가 궁금하거나 고민이 있다면 의견을 나눌수도 있고 뒤쳐지고싶지 않아서 자극도 되는 것 같다! 다들 실력이 좋으셔서 많은 도움이 되는 것 같다!
❓ 이번 주 항해 취업 리부트코스에서 내가 구현한 기능은 무엇인가요?
❓ 해당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어떤 기술적 의사결정을 거쳤나요?
shadcn/ui
1. 직접적인 커스터마이제이션: 컴포넌트 코드를 직접 프로젝트에 통합함으로써, 사용자는 라이브러리의 제약에서 벗어나 완전히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습니다.
2. 의존성 최소화: 별도의 패키지 설치 없이 필요한 컴포넌트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앱의 크기를 줄이고 관리가 용이합니다.
3. 빠른 통합과 사용: npm과 같은 패키지 매니저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필요한 컴포넌트를 빠르게 찾아 바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주 진행된 개인 프로젝트에서 얻은 인사이트는 무엇인가요?
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할때 구먹구구식으로 개발부터 시작하는게 아니라 환경 세팅을 먼저하면서 이것저것 많이 찾아보고 파일 하나를 만들거나 커밋 하나를 하는데도 많은 고민이 생기는 것 같다. 지금은 시간이 오래 걸리겠지만 장기적으로 봤을때 나의 성장에 분명 유의미한 도움이 될거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