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기초

wish17·2023년 5월 28일
0
post-thumbnail

연산자

산술연산자

Operator
Example
+ 덧하기
a + b = 30
- 빼기
a – b = -10
* 곱하기
a * b = 200
/ 나누기
b / a = 2
** 제곱
a = 3; b = 4; print(a ** b) 81
// 정수 몫
9//2 = 4 and 9.0//2.0 = 4.0, -11//3 = -4, -11.0//3 = -4.0
% 나머지
b % a = 0

비교연산자

Operator
Example
==
(a == b) is not true.
!=
(a != b) is true.
<>
(a <> b) is true. This is similar to != operator.
>
(a > b) is not true.
<
(a < b) is true.
>=
(a >= b) is not true.
<=
(a <= b) is true.

할당연산자

Operator
Example
=
c = a + b assigns value of a + b into c
+= Add AND
c += a is equivalent to c = c + a
-= Subtract AND
c -= a is equivalent to c = c - a
*= Multiply AND
c *= a is equivalent to c = c * a
/= Divide AND
c /= a is equivalent to c = c / ac /= a is equivalent to c = c / a
%= Modulus AND
c %= a is equivalent to c = c % a
**= Exponent AND
c **= a is equivalent to c = c ** a
//= Floor Division
c //= a is equivalent to c = c // a

논리연산자

Operator
Example
and Logical AND
(a and b) is true.
or Logical OR
(a or b) is true.
not Logical NOT
Not(a and b) is false.

Bitwise 연산자

  • 비트단위연산에 사용하는 연산자
Operator
Example
& Binary AND
(a & b) (means 0000 1100)
| Binary OR
(a | b) = 61 (means 0011 1101)
^ Binary XOR
(a ^ b) = 49 (means 0011 0001)
~ Binary Ones Complement
(~a ) = -61 (means 1100 0011 in 2's complement form due to a signed binary number.
<< Binary Left Shift
a << 2 = 240 (means 1111 0000)
>> Binary Right Shift
a >> 2 = 15 (means 0000 1111)

멤버쉽 연산자

  • 좌측 Operand가 우측 컬렉션에 속해 있는지 아닌지를 체크
Operator
Example
in
x in y, x가 시퀀스 y의 멤버이면 1이 됩니다.
not in
x not in y, x가 시퀀스 y의 멤버가 아닌 경우 1이 됩니다.

Identity 연산자

  • 두 객체의 메모리 위치를 체크
Operator
Example
is
연산자의 양쪽에 있는 변수가 동일한 객체를 가리키는 경우 true로 평가하고 그렇지 않으면 false로 평가합니다.
is not
연산자의 양쪽에 있는 변수가 동일한 객체를 가리키는 경우 false로 평가하고 그렇지 않으면 true로 평가합니다.

파이썬 연산자 우선 순위

Operator
Description
**
지수 (전원으로 인상)
~ + -
Ccomplement, 단항 플러스와 마이너스 (마지막 두의 메서드 이름은 + @이며, - @)
* / % //
곱하기, 나누기, 나머지, 몫
+ -
덧셈과 뺄셈
>> <<
좌우 비트 시프트
&
비트 'AND'
^ |
비트 전용 'OR'와 정기적 인 'OR'
<= < > >=
비교 연산자
<> == !=
평등 연산자
= %= /= //= -= += *= **=
할당 연산자
is is not
식별 연산자
in not in
맴버 연산자
not or and
논리 연산자

자료형

문자형

인덱싱

a = "12345"
print(a[-1]) #a문자열의 맨 뒷 문자
# 출력 5
print(a[0])
# 출력 1

슬라이싱

a[0:4:1]
#이상:미만:간격

이스케이프 코드

코드 설명
\n 문자열 안에서 줄을 바꿀 때 사용
\t 문자열 사이에 탭 간격을 줄 때 사용
\\ 문자 \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작은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 큰따옴표(")를 그대로 표현할 때 사용
\r 캐리지 리턴(줄 바꿈 문자, 현재 커서를 가장 앞으로 이동)
\f 폼 피드(줄 바꿈 문자, 현재 커서를 다음 줄로 이동)
\a 벨 소리(출력할 때 PC 스피커에서 '삑' 소리가 난다)
\b 백 스페이스
\000 널 문자
print("I ate %s apples.\nso I was sick for %s days." % (num, day))

문자열 포맷 코드

코드 설명
%s 문자열(String)
%c 문자 1개(character)
%d 정수(Integer)
%f 부동소수(floating-point)
%o 8진수
%x 16진수
%% Literal % (문자 % 자체)
num = 10
day = "three"
a = "I ate %s apples. so I was sick for %s days." % (num, day)
print(a)

#출력
I ate 10 apples. so I was sick for three days.

#  "hi"를 3자의 너비로 형식화, "hi"는 2글자이므로 "hi" 앞에 공백을 하나 추가하여 총 3글자를 만든다.
a = "%3s" % "hi"
# 출력 (공백을 _로 표현)
_hi

# 총 8자의 너비로 형식화, 정밀도 = 소수점4자리
a = "%8.4f" % 3.42135234
#출력 (공백을 _로 표현)
__3.4214

함수

ord(문자)

  • 하나의 문자를 인자로 받고 해당 문자에 해당하는 유니코드 정수를 반환

len(문자열)

  • 매개변수로 들어온 문자열의 길이를 반환

count(문자열)

  • 매개변수로 들어온 문자열이 포함된 횟수를 counting

find(문자열)

  • 매개변수로 들어온문자 위치(시작 인덱스) 알려주기
a="Python is best choice"
print(a.find('b'))  #10번째 글자에 b있음
print(a.find('3'))  #없으면 -1

문자열.replace("A","B")

  • 문자열에 포함 된 AB로 변환

a = ",".join("abcd")

  • abcd에 , 문자(열) 삽입
  • 출력: a,b,c,d

문자열.upper()

  • 전부 대문자로 변환

문자열.lower()

  • 전부 소문자로 변환

int(정수형)

함수

chr(정수)

  • 하나의 정수를 인자로 받고 해당 정수에 해당하는 유니코드 문자를 반환

round()

  • 반올림

반복문

for

#방법1
for i in range(10) :
    print(i);

#방법2
for i in range(0,10) :
    print(i, end=' ');

#출력
0 1 2 3 4 5 6 7 8 9 

함수

input().split()

  • .split() 메서드는 받은 문자열을 공백을 기준으로 나누어 리스트로 반환

map()

  • 함수와 이터러블(반복 가능한 객체, 여기서는 리스트)을 인자로 받아, 이터러블의 모든 요소에 주어진 함수를 적용한 결과를 반환
  • map(int, ...): map(int, input().split())은 input().split()의 결과로 얻은 모든 문자열을 정수로 변환
    • input().split()라는 리스트에 int라는 함수를 적용한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