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타입별 데이터 표현 범위를 통한 overflow 방지

LeeSeungEun·2023년 5월 19일
0

JAVA

목록 보기
24/28

1. 기본 타입(primitive type)

  • 타입(data type)은 해당 데이터가 메모리에 어떻게 저장되고, 프로그램에서 어떻게 처리되어야 하는지를 명시적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 자바에서는 여러 형태의 타입을 미리 정의하여 제공하고 있는데, 이것을 기본 타입(primitive type)이라고 한다.
  • 자바의 기본 타입은 모두 8종류가 제공되며, 크게는 정수형, 실수형, 문자형 그리고 논리형 타입으로 나눌 수 있다.

2. 오버 플로우 / 언더 플로우

  • 오버플로우(overflow)란 해당 타입이 표현할 수 있는 최대 범위보다 큰 수를 저장할 때 발생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 언더플로우(underflow)란 해당 타입이 표현할 수 있는 최소 범위보다 작은 수를 저장할 때 발생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 해당 타입이 표현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난 데이터를 저장하면, 오버플로우/언더플로우가 발생해 전혀 다른 값이 저장될 수 있다.

3. 출처

http://www.tcpschool.com/java/java_datatype_basic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