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단일행 함수
2.1 숫자함수
이름 | 의미 | 사용예 | 결과값 |
---|
ABS | 주어진 숫자의 절대 값을 출력 | ABS(-12) | 12 |
ROUND | 주어진 숫자를 반올림한 후 출력 | ROUND(12.345, 2) | 12.34 |
TRUNC | 주어진 숫자를 버림 후 출력 | TRUNC(12.345, 2) | 12.34 |
MOD | 주어진 숫자를 나누기한 후 나머지 값 출력 | MOD(12, 10) | 2 |
CEIL | 주어진 숫자와 가장 근접한 큰 정수 출력 | CEIL(12.234) | 13 |
FLOOR | 주어진 숫자와 가장 근접한 작은 정수 출력 | FLOOR(12.234) | 12 |
POWER | 주어진 숫자 1의 숫자2 제곱 출력 | POWER(3, 2) | 9 |
2.1.1 ABS : 절대값을 구하는 함수
SELECT -10, ABS(-10) as 절대값 FROM dual;

2.1.2 ROUND : 반올림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 반올림할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
- 자릿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소수점 첫째 자리 반올림
- 음수로 자릿수를 지정할 경우 일->십->백 순의 자릿수에서 반올림
SELECT 12.3456, ROUND(12.3456),
ROUND(12.3456, 2), ROUND(12.3456, -1)
FROM dual;

2.2.3 TRUNC() : 버림을 한 결과를 반환하는 함수
- 버림할 자릿수를 지정할 수 있다.
- 자릿수를 지정하지 않으면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버림 (기본값 0)
- 음수일 경우 일->십->백 순의 자릿수에서 버림
SELECT
12.3456,
TRUNC(12.3456),
TRUNC(12.3456, 2),
TRUNC(12.3456, -1),
TRUNC(12.3456, 0)
FROM dual;

2.1.4 MOD(A, B) : 나누기한 후 나머지를 출력하는 함수
- MOD(A, B)의 두 개의 매개변수 중 A는 대상 수, B는 나눌 수를 넣으면 된다.
- Java의 연산자 퍼센트(%)와 같은 원리이다.
SELECT MOD(21, 5)
FROM dual;

2.1.5 CEIL(A) : CEIL(실수A)을 넣으면 실수A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큰 값의 정수를 반환하는 함수
SELECT CEIL(12.3456)
FROM dual;

2.1.6 FLOOR(A) : FLOOR(실수A을 넣으면 실수A 기준으로 가장 근접한 작은 정수를 반환하는 함수
SELECT FLOOR(12.3456)
FROM dual;

2.1.7 POWER(A, B) A를 B만큼 제곱하는 함수
SELECT POWER(3, 4)
FROM dual;

Reference
- 테이블 자료 : Oracle -
EMP 테이블
- 참고도서(책) : SQL활용 + 실습 후 정리
- 🎈202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