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ext.js로 간단한 웹 페이지 작업을 하는 중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하다 판단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찾아보고 결정한 것은 vercel에 있는 postgres이다.
vercel postgres를 결정한 이유
단점
그러나 지금 프로젝트는 사용자가 한정적이라 용량을 거의 사용하지 않을거라 판단하여 vercel postgres를 선택했다.
그럼 내가 vercel Storage를 어떻게 연결했는지 포스트 하겠다.
Vercel 메뉴바에 Stroage가 있다 여기서 Create Database를 선택


이제 프로젝트에 데이터베이스가 연결이 되었다.
프로젝트 터미널에 아래와 같은 순서로 타이핑!
# vercel 최신 버전 설치
npm insatll -g vercel@latest --save
# 설치된 버전 확인
vercel --version
# vercel link
vercel link
# 로그인 해주고 내용 다 Yes로 해준다.
No existing credentials found. Please log in:
? Log in to Vercel Continue with GitHub
> Success! GitHub authentication complete for ~~@gmail.com
? Set up “~/Documents/Star-Breaker-Raid”? yes
? Which scope should contain your project? ~~ projects
? Found project “~~~~`”. Link to it? yes
✅ Linked to wjd15sheeps-projects/star-breaker-raid (created .vercel)
# vercel의 env 변수들을 가져오기
vercel env pull .env.development.local

최종적으로 프로젝트 파일에 env파일이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잇다.
아직 postgres 라이브러리가 설치된것은 아니다 그렇기에 터미널로 설치를 해준다.
npm install @vercel/postgres --save
vercel 웹에서 Data에 users 테이블을 생성해준다.

user 테이블에 데이터를 넣어준다

Browse에서 users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이 넣은 데이터가 보여진다.

쿼리에서 user 데이터 전체 검색(이전에 위와 같은 방식으로 데이터를 더 넣어줌)

// vercel postgres import
import { sql } from '@vercel/postgres'
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SQLTest() {
// sql 후 백틱 ``, 백틱 안에 sql문 작성
const res = await sql`SELECT * FROM users`
// 타입은 object
console.log(typeof res)
// users에 값 넣기
const users = res.rows
return (
<div className='h-full w-full'>
<ul>
{users.map((user) => (
<li key={user.id}>{user.name}</li>
))}
</ul>
</div>
)
}
위와 같이 했다면 이제 화면에서 아래와 같이 나온다.

이제 마음컷 쿼리를 이용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면된다.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