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문과 조건문에 대해 알아보자
특정 코드를 반복적으로 실행하는데 사용하며 다양한 반복문이 있다.
하나하나 알아보자
while(조건)
가장 기본적인 반복문이다. 조건이 false가 되기 전까지 블럭안의 코드를 반복 실행한다
조건에 true, false 또는 0, 1 등을 넣어서 항상 실행하거나 건너뛰게 할 수 있다
let count = 0;
while (count < 3) {
console.log(count); // 0 1 2
count++;
}
while (false) {
console.log("A"); // 건너뜀
}
do {내용} while(조건)
블럭안의 내용을 일단 실행하고 조건을 검사한다
그외에는 while문과 같다
do {
console.log("실행"); // 실행
} while (false); // 실행 후 조건 검사!
for(초기문, 조건문 ,증감문)
while문과 달리 초기문, 조건문, 증감문을 적을 수 있다(생략도 가능)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대게 for문을 많이 사용한다
for (let i = 0; i < 10; i++) {
console.log(i); // 1 ~ 9
}
for(value in object)
객체의 프로퍼티를 순서대로 가져온다
객체의 모든 열거 가능한 속성에 대해 반복
let obj = {
one: 1,
two: 2,
three: 3,
};
for (val in obj) {
console.log(val); // one two three
}
for(value of iterator)
ES6에 추가된 컬렉션 전용 반복 구문이다
사용하기 위해서는 컬렉션 객체가 [Symbol.iterator] 속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직접 명시 가능)
let iter = [1, 2, 3];
for (val of iter) {
console.log(val); // 1 2 3
}
조건문은 특정 조건이 참일 경우에만 코드를 실행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하나하나 알아보자
if(조건) { 내용 }
if문은 조건이 참일 때 { } 안의 내용이 실행 되는 조건문이다
if문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지만 else if, else와 같이 쓰이기도 하는데 if -> else if -> else 순으로 전달되며 조건을 검사한다
앞 조건이 참일 경우 뒤에 나오는 else if나 else는 실행되지 않는다
const number = 5;
if (number > 10) {
console.log("if");
} else if (number > 5) {
console.log("else if");
} else {
console.log("else");
}
// "else"
switch(변수) { 내용 }
switch문은 변수가 ~ 일 때 case 1이 실행과 같이 변수에 따라 분기가 많을 때 사용하기 좋은 조건문이다
switch문의 블럭안에는 여러요소가 있는데 하나하나 알아보자
case 변수 : 코드의 형태로 쓰이며 하나의 if라고 생각하면 된다switch의 elseconst number = 6;
switch (number / 2) {
case 1:
console.log(1);
break;
case 2:
console.log(2);
break;
case 3:
console.log(3); // 실행
break;
default:
console.log("none");
break;
}
개인적으로 잘 안쓰는 편이다
조건문 ? 참 값 : 거짓 값
삼항연산자는 삼항식이라고도 하며 자바스크립트에서 유일하게 세 개의 피연산자를 취하는 연산자이다
보통 if문을 단축하기 위해 사용한다
let before = 1;
let after = before === 1 ? 2 : 1; // before가 1이면 2를 아니면 1을 after에 할당하는 삼항식
console.log(after); // 2
if문을 한 줄로 깔끔하게 줄일 수 있어 좋다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