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수 정의
function 함수이름 (input) {
・・・ 동작기능 ・・・
} // input, output 없이도 함수 사용가능
//함수 호출
함수이름() // 함수를 정의하고 호출까지해야 함수가 동작한다.
ex)
function sayHello () {
console.log("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갑습니다.")
}
sayHello() // "안녕하세요! 만나서 반갑습니다."
function myName () {
let name = "JungA"
return name
}
myName() // 호출은 됐지만 콘솔창엔 안뜬다.
console.log(myName()) // "JungA"
// console.log(함수이름())을 통해 결과 확인이 가능하다.
function sayMyAge(age) {
console.log(age)
} // age는 매개변수다.
sayMyAge(25) // 25
-위 함수 호출에 사용되는 값(25)는 매개변수가 아닌 인자(argument)로 불린다.
function getFullName(lastName,firstName) {
return lastName + firstName
}
getFullName("Lee", "JungA")
console.log(getFullName("Lee", "JungA")) // "LeeJungA"
console.log(1 + 1 === 2) // true
console.log(1 + 2 === 2) // false
if (조건) {
조건이 참일 때 실행할 명령문
} else {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할 명령문
}
function isEven(num) {
if (num % 2 === 0) {
return true // 숫자를 2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0이 맞다면 true 반환
} else {
return false // 숫자를 2로 나눴을 때 나머지가 0이 아니라면 false 반환
}
}
console.log(isEven(14)) // true
console.log(isEven(11)) // false
if (조건1) {
조건1이 참일 때 실행할 명령문
} else if (조건2) {
조건2가 참일 때 실행할 명령문
} else if (조건3) {
조건3이 참일 때 실행할 명령문
}
・
・
・ else {
위 조건이 모두 거짓일 때 실행할 명령문
}
function oddOrEven(num) {
if(num % 2 === 0) {
return "Even"
} else if (num % 2 === 1) {
return "Odd"
} else {
return "undefined"
}
}
console.log(oddOrEven(8)) // "Even"
console.log(oddOrEven(6.54)) // "undefined"
if (조건) {
/* if (조건) {
명령문
} else {
명령문
}
*/ //주석처리된 부분이 명령문 자체다.
} else {
명령문
}
function ex (num1, num2) {
if (num1 % 2 === 0 || num2 % 2 === 0) {// ||활용 둘 중 하나 짝수면true
if (num1 < 9 && num2 < 9) { // &&활용 둘 다 9보다 작아야true
return true
} else {
return false
}
} else {
return false
}
}
안녕하세요 정아님! TIL 잘 작성하고 계시는군요 👍
개강해서 뵙게되기를 기다리고 있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