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3.09 ~ 2025.04.25 Asia Impact Hackathon
지난 2달간 Impact 팀으로 한국정책학회에서 주최한 Asia Impact 해커톤에 예선부터 본선까지 참가했습니다.
| Impact | 이름 | 소속 | 분야 | 이메일 |
|---|---|---|---|---|
| 팀장 | 양시훈 | 가천대학교 소프트웨어전공 | 백엔드 및 인프라 | tlgnssihun@gachon.ac.kr |
| 팀원 | 구본욱 | 가천대학교 소프트웨어전공 | 백엔드 및 인프라 | chris3565@gachon.ac.kr |
| 팀원 | 김유경 | 가천대학교 소프트웨어전공 | 백엔드 및 인프라 | kimyk0316@gachon.ac.kr |
| 팀원 | 장영하 | 가천대학교 인공지능전공 | 프론트엔드 및 UXUI | wkddudgk4869@gachon.ac.kr |
이번 해커톤은 혁신적인 솔루션을 개발하여 사회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챌린지로 실용적인 웹/앱을 개발하거나, 연구 기반 솔루션을 제출하는 대회였습니다.
저희 팀은 앱개발을 선정하여 청년 세대의 정치 무관심을 해결하는 플랫폼 Impact를 기획하였습니다.
지금부터 그간 저희의 경험을 전달드리겠습니다.
IMPACT는 "I Make Politics ACT"의 약자로, 청년들이 정치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만들어나가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현재 한국뿐만 아니라 아시아 여러 국가에서 심각한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청년층의 정치적 무관심을 해결하고자 합니다.
청년 세대의 정치적 무관심은 단순히 투표율 저하를 넘어, 청년들을 위한 정책 소외, 기성세대 중심의 정치 고착화, 그리고 궁극적으로 민주주의 약화라는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낮은 정치적 효능감, 기성 정치권과의 단절감, 온라인상의 편향된 정보 노출, 그리고 경제적 불안정 등이 청년들의 정치 무관심을 심화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저희는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청년들이 정치 정보를 쉽고 재미있게 접하고, 나아가 정치 참여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은 핵심 기능들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맞춤형 정보 제공: 사용자의 나이, 거주지, 관심사, MBTI 등을 기반으로 개인에게 최적화된 뉴스, 법안, 청원 정보를 제공하여 정치에 대한 흥미를 유발합니다.
AI 기반 뉴스 요약: 바쁜 청년들을 위해 Gemini를 활용하여 정치 뉴스를 간결하게 요약하여 핵심 내용을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법안 영향 예측 시뮬레이션: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지는 법안이 통과될 경우,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어떤 변화가 있을지 AI 시뮬레이션을 통해 시각적으로 보여주어 정책의 필요성을 실감하게 합니다.
뉴스 신뢰도 및 언론 성향 분석: AI가 뉴스의 신뢰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언론사의 성향을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편향되지 않은 정보를 판단하고 건강한 비판적 시각을 가질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정치 참여 유도 재미 요소: 단순히 정보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나라별 재미 요소를 도입하여 정치에 대한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참여를 자연스럽게 유도합니다.
AI 챗봇 ‘위피’: 앱 이용 중 궁금한 점이 생겼을 때, 챗봇 ‘위피’를 통해 용어 설명, 뉴스 요약, 관련 정보 검색 등 다양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다국어 지원: 한국뿐만 아니라 정치적 무관심 문제가 심각한 다른 아시아 국가의 청년들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다국어를 지원할 예정입니다.
신뢰도 높은 정치 정보에 대한 접근성 향상: AI 기반 분석을 통해 가짜 뉴스나 편향된 정보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고, 객관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합니다.
정치적 효능감 증진 및 정치 참여 동기 부여: 쉽고 재미있는 정보 접근 방식과 법안 시뮬레이션을 통해 정치의 영향력을 체감하고, 정치 참여의 필요성을 느끼도록 유도합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향상: 뉴스 신뢰도 및 언론 성향 분석 기능을 통해 사용자들이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하고 판단하는 능력을 향상시킵니다.
청년 세대의 적극적인 정치 참여 및 건강한 민주주의 발전 기여: IMPACT는 청년들이 정치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환경을 조성하여, 미래 사회의 주역으로서 책임감 있는 시민 의식을 함양하고 건강한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저희 Impact 팀은 아이디어 구상 단계부터 긴밀한 협력을 통해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가장 먼저 청년 세대가 정치 정보를 어떻게 소비하고, 어떤 어려움을 느끼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거쳤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Impact의 핵심 기능들을 정의하고, 각 기능 구현에 적합한 기술 스택을 선정했습니다. 사용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Flutter를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로 결정했으며, 안정적인 백엔드 구축을 위해 Spring Boot와 Java를 선택했습니다. 핵심 기능인 AI 기반 분석 및 추천 시스템 구축을 위해 Gemini API와 KoBERT 모델을 활용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사용자 친화적인 인터페이스를 위해 Figma를 이용하여 팀원들과 함께 와이어프레임 및 UI 디자인을 반복적으로 수정하며 발전시켜 나갔습니다. 특히 정치 정보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젊은 세대가 익숙한 SNS 형태의 UI를 채택하고, 직관적인 정보 구조를 설계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디자인된 UI/UX를 기반으로 Flutter를 이용하여 실제 앱 화면을 구현했습니다. 다양한 위젯과 애니메이션을 활용하여 사용자의 몰입도를 높이고, 각 기능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특히 Gemini API 및 백엔드 API와의 효율적인 연동을 위해 노력했습니다.
안정적인 데이터 처리와 API 제공을 위해 Spring Boot와 Java를 이용하여 백엔드 서버를 개발했습니다. 뉴스, 법안, 청원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를 설계하고, Gemini API 및 KoBERT 모델과의 연동을 위한 API를 개발했습니다. 또한 사용자 맞춤형 추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코사인 유사도 알고리즘을 적용했습니다.
저희 Impact 팀은 해커톤 기간 동안 끊임없는 소통과 협력을 통해 청년 세대의 정치 무관심이라는 사회 문제를 해결하고자 노력했습니다. 비록 짧은 기간이었지만, 저희의 아이디어를 실제 앱으로 구현하고, AI 기술을 활용하여 의미 있는 솔루션을 제시할 수 있었던 값진 경험이었습니다. 저희는 이러한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PPT와 영상을 제출하여 대회를 마무리하였습니다.
이번 대회를 진행하면서 느낀 감정은 "재밌다" 였습니다. 하나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고, 그 해결책을 나의 손으로 만들어가는 과정은 저에게 정말 큰 만족감을 주었습니다. 비록 수상은 하지 못했지만 이번 대회에서의 경험은 정말 값졌던 것 같습니다. 저희의 결과물은 대회 제출용이였기에 아직 실제 상용화를 대비하여 진행된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그렇기에 앞으로 발전해야할 것이 많고 또 그를 통해 성장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청년 세대의 정치 무관심을 해결 할 때 까지 저희의 도전은 멈추지 않습니다. 많은 긍정적인 관심 부탁드립니다!!
한 달동안 정말 고생많으셨습니다!
든든한 프런트 개발자가 얼마나 팀에 도움이 되는지 크게 느꼈습니다 ㅎㅎ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