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하이퍼텍스트 전송 프로토콜로, 웹 서버와 클라이언트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입니다.일반적으로 80번 포트를 사용합니다.HTTPSHTTP에 보안이 추가된 프로토콜입니다.HTTP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암호화되지 않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하여 데이터를 도난

“CI/CD가 뭐지?”“CI/CD가 왜 필요한거지?”CI/CD에 대해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를 보겠습니다.한명의 개발자가 프로그램을 만드는 상황과팀 단위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2가지 상황입니다.개인 개발을 할 때는 로컬 PC에서 작업을 하고, 깃허브와 같은 코드 저장소

프로젝트 코드를 보면, 패키지 명에 Service / ServiceImpl 로 나누어 작성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원래 인터페이스는 자바의 객체지향적 특징중 하나인 다형성(OCP)을 위해 사용하지만, 여기서는 심지어 1:1 관계입니다.일반적인 토이 프로젝트에서 굳이

SpringBoot 프로젝트를 만들다 보면 여러가지 어노테이션을 자연스럽게 쓰게 된다.@NoArgsConstructor / @Getter / @Entity ..대충 알고 넘어가거나 썼었던 어노테이션을 정리하기 위해 공부해보았다.Lombok은 뭐고 Annotation은

코딩테스트 연습을 하는 종종 '람다식' 으로 푸는 답변들이 종종 눈에 띄었다.이러한 코드를 작성 하던 중라는 에러를 만나게 되었고, 람다식에 대해서 정리하는 글을 쓰려고 합니다.람다식은 단순히 메서드를 '하나의 식' 으로 표현한 것입니다.간략하게 표현함으로써 메서드의

이전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도 DB가 여러개면 성능적으로 좋지 않을까 궁금했었는데,스터디를 하던 중 MSA에 대한 이야기가 나와서 공부해보려고 합니다.

기술면접 대비도 할 겸 OOP에 대해 한번 짚고 넘어가려고 합니다.OOP란 말은 프로그래밍을 공부한다면 한번은 들어봤을만한 단어입니다.단어의 뜻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이라고 합니다.OOP는 현실 세계의 사물및 개념들을 객체로 보고, 그 객체들을 조립하여 프로그래밍 하

프로젝트의 필수 요소인 형상관리 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최종의 최종..소프트웨어의 변경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적하고 통제하는 것. 형상 관리는 일반적인 단순 버전관리 기반의 소프트웨어 운용을 좀 더 포괄적인 학술 분야의 형태로 넓히는 근간.출처: 나무위키 - 버전 관

이미 써봤던 RDBMS외에도 다른 DB를 공부해보고 싶어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 NoSQL (Not Only SQ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