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s.children
// src/App.js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User() {
return <div></div>;
}
function App() {
return <User>안녕하세요</User>;
}
export default App;
children 값 받아서 렌더링하기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User(props) {
return <div>{props.children}</div>;
}
function App() {
return <User>안녕하세요</User>;
}
export default App;
Layout 컴포넌트 안에는 header 라는 컴포넌트가 있고, header 아래에 {props.children} 를 통해서 props를 받아 렌더링 하고 있습니다. 즉, Layout 컴포넌트가 쓰여지는 모든 곳에서 <Layout>…</Layout> 안에 있는 정보를 받아서 가져올 수 있는 것이죠.
// src/About.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Layout from "./components/Layout";
function App() {
return (
<Layout>
<div>여긴 App의 컨텐츠가 들어갑니다.</div>
</Layout>
);
}
export default App;
// src/About.js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Layout from "./components/Layout";
function About() {
return (
<Layout>
<div>여긴 About의 컨텐츠가 들어갑니다.</div>
</Layout>
);
}
export default About;
default props 지정하기
// components/Child.js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Child({ name }){
return <div>내 이름은 {name} 입니다. </div>
}
// 이렇게 설정합니다.
Child.defaultProps={
name: '기본 이름'
}
export default Child

개발자 도구에서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const App = () => {
const [mule, setMule] = useState("내가 먼저 등장");
const [pw, setPw] = useState("")
// [변수명, 값을 담아주는 set] = (첫번쨰 띄워줄 거)
console.log("변수명 mule", mule)
console.log("변수명 pw", pw)
console.log("-------------")
// Add 함수
// id 필드가 변경될 경우
// 이벤트를 담아서 인풋에 뭔 써도 값이 되기
const onIdChange = (event) => {
setMule(event.target.value)
// 꼭 기억** 이벤트 객체안에 타겟 객체안에 벨류의 값을 담는다.
console.log("mule 바구니함수", mule)
}
// 비밀번호 필드가 변경될 경우
const onPwChange = (event) => {
setPw(event.target.value)
console.log("pw 담아서 함수", pw)
}
return (
<div>
<div>
ID : <input type="text" value={mule} onChange={onIdChange}/>
</div>
<div>
PW :
<input type="password" value={pw} onChange={onPwChange}/>
</div>
<button onClick={()=> {
alert(`입력한 아이디는 ${mule}이고, 비번은 ${pw}입니다.`)
setMule("");
setPw("");
}}>
Login</button>
</div>
)};
export default App;
리액트 기능구현 및 코드분석

오늘은 프룹스랑 State를 문법을 배우고 구현해보면서 해석 해보았다.
돌아가는 원리를 더 파악해 보고 코딩을 많이 찍어 봐야겠다.

렌더링에 대해서도 많이 언급되고 있기에 구글링 해봤는데,
한마디로
이렇게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