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Auth2.0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가 있다. 앞에서 언급이 조금씩 되었는데, 여기서 정리를 하고 짚고 넘어가면 좋을 듯 하다.
OAuth2.0을 사용하고자 하는 앱은 사전에 권한 제공자에게 앱에 대한 정보를 등록해야함
일반적으로 앱에서 제공할 서비스의 명칭, 사이트 주소, Redirect URI 등의 기본 정보를 등록함
<정보 등록>
1) 클라이언트 앱의 기본 정보는 아래와 같다.
2) 클라이언트 자격 증명 및 권한 범위는 아래와 같다.
3) 구성원 계정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아래와 같다.
4) 서비스 계정 인증에 필요한 정보는 아래와 같다.
참고: NAVER WORKS - 클라이언트 자격 정보 관리 및 설정에서 자세히 설명되어있음
Resource Owner(권한 제공자)는 사용자가 앱에게 권한을 부여하는 것에 대해 동의를 하면 사용자를 앱 정보 중에 하나인 Redirect URL로 이동시킴
사전에 등록된 앱 정보의 Redirect URI가 아닌 다른 URI이면 이동되지 않음
Redirect URI로 이동할 때 Resource Owner(권한 제공자)는 authorization code(임시 승인 코드)를 담아 보냄
앱(Client)은 권한 제공자(Authorization Server)에게 받은 Access Token을 이용해 데이터 제공자(Resource Server)에게 데이터 요청을 함
데이터 제공자(Resource Server)는 요청 값에 담긴 Access Token을 확인하여 데이터를 제공하거나 제공하지 않을 수 있음
Access Token은 보통 유효 기간이 짧게 발행되는데, 만료되었을 경우에는 Refresh Token으로 권한 제공자에게 간단하게 신규 Access Token을 재발급 받을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