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13_2일차

자햐·2024년 8월 13일
0

교육

목록 보기
2/51

chap4. 깃 기본 이론

sect1. 깃은 분산식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sect2. 내 컴퓨터에 깃 설치하기

sect1. 깃은 분산식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 깃은 로컬 시스템입니다. (내 컴에 설치한다는 뜻)

-> 깃은 내 컴퓨터에 설치되는 시스템입니다.

-> 깃 허브는,, 원격으로 중앙에서 우리 프로젝트를 백업해두고, 버전 관리 해주고, 협업도 하게 해주고 관리하는 시스템

중앙에는 깃허브, 우리 컴에는 깃이 깔려있고, 우리는 깃을 통해서 프로젝트를 수정하고 설정하고,, 깃을 통해 중앙의 깃허브와 소통할 수 있음

깃은 로컬 시스템입니다.

-> 내 컴퓨터의 폴더(=프로젝트; 여러 개의 파일)을 하나의 묶음으로 버전을 생각해보자!
-> 깃은 내 컴퓨터 안에서 버전을 관리하는 시스템이자, 깃허브와 소통하는 시스템
-> 깃허브는 원격 컴퓨터에서 백업을 담당하는 시스템이자, 내 컴퓨터와 별도로 버전 관리도 해주는 친구

-> 내 컴퓨터에 깃이 깔려있으면, 버전 관리를 로컬로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깃허브와 소통(백업, 복구..) 할 수 있다.

다른 컴퓨터에도 깃이 깔려 있으면, 깃허브를 통해 소통(다운로드, 복제, 백업, ...) 할 수 있다.


내 컴퓨터에 깃 설치하기

설치 후 git--version을 작성해서 설치 여부 알 수 있음.

  • 윈도우 : git bash 실행 > git--version

chap5. 깃과 친해지기

sect1. CLI vs GUI
sect2. 자주 쓰이는 명령어는?

CLI vs GUI

명령을 하는 방법

  • CLI : command line interface, 명령 줄 인터페이스, 셸(shell)에 글자를 입력해서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리는 것

  • GUI : graphic user interface, 그래픽으로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릴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화면을 제공함.

cf) 명령 프롬포트, shell(셸 - 조개껍데기, 창을 의미함) : 셸(창)을 통해서 운영체제와 우리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ex) MS DOS, 명령 프롬포트(cmd), 파워셸, 배쉬.. / terminal, windows terminal ..

깃에서 자주 쓰이는 명령어는?

-> 당연히 CLI방식.

  1. ls -> list segmentation (파일 안에 뭐가 있는지 보여주는 명령어)

  2. ls -a : 좀 더 자세하게 보여줌

  3. mkdir : making directory

  4. cd : change directory (이동)

  5. cd .. : 점 두개 -> 디렉토리 나가기

  6. git init : initiaize-> git한테 이제 너가 관리 좀 해달라고 말하는 명령어
    -> 실행하면 이제 버젼 관리 할 수 있도록 .git/이라는 폴더를 GitTest 폴더에 git이 알아서 넣어놓음

  7. git status : 현 상태(버전 관리 되고 있는게 있는지, 있다면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는 명령어)
    git init안시키고 status 명령어 입력하면 fatal오류가 뜨지만 init하고 status 입력하면 어떤 폴더가 git에 관리되고 있는지를 보여줌

근데!

이렇게 뜸

왜?

git은 보수적으로 생각하여서 특정 폴더 버전관리를 부탁해도 그 폴더 안의 파일은 관리를 걸어놓지 않음. 그래서 모르는 파일이야! 라고 말해줌

그래서 따로 관리해줘야 하는 파일을 지정을 해줘야함.


  1. add명령어(중요)

(이전까지 한 내용 정리)

  • git init 치면 -> .git파일이 폴더에 추가되며 git이 폴더 관리를 하기 시작함

  • git status 치면 -> git이 관리하는 폴더를 보여주며 근데,, 그 안의 파일은? 내가 아직 관리 안하고 있어~(not tracking..) 하고 말해주니.. 내가 따로 관리해야 할 파일을 지정해줘야 함

git init
깃은 시작부터 다 트래킹하고 있진 않음

[git add 파일명]
= git보고 이 파일 이제부터 트래킹해줘. 라고 말하는 것 = 이 파일 좀 모아줘!

  1. commit

(.git의 경우 버전 저장 하기 전에 관리중 <<git add로 통해 저장하기 전 버전들을 모음 -- init하고 나서 내가 저장하고 싶은 애들을 add로 따로 지정해서 모으는 것>> : test.txt)

-> git commit = 버전으로 저장할 것 모으고 있었지? 지금까지 모은걸로 버전 만들어줘.

git commit 하면 새로운 버전으로 저장되기 때문에 add목록에서 없어짐(버전만들려고 대기하던 애들이 있던 공간이 초기화되는 것)

  1. log

git commit하고 나서 git log를 치면 내가 지금까지 깃에 커밋한 내용을 볼 수 있음.

**사실 gui로(버튼을 눌러서 하는 방식으로) vscode에서 커밋을 할 수 있지만, 지금까지 한 내용들은 CLI방식(그냥 명령어 쳐서 동작하게 하는 방식)으로 어렵게 해본 것! 이를 통해 하나하나의 add와 commit이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는지 알 수 있다.

GUI로 init, add, commit

(위의 방식은 CLI방식)
(넘어감)




Part3. 깃허브로 협업하기

여태까지 한 건 깃(내 컴퓨터의) 과정!

지금부터 할 것은 깃허브 과정!

chap6. 깃허브와 연동하기

  • 자주 쓰이는 명령어
  1. git remote -v
    CLI 과정이니 터미널에 작성할 것!



과제사진제출!!


profile
산업과 예술의 만남에 있는 예비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