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Tech-Interview

JiKwang Jeong·2021년 12월 1일
0

Spring

Spring Framework란

  • 자바 엔터프라이즈 개발을 편하게 해주는 경량급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Lightweight Java Application Framework
    • 목표: POJO 기반의 Enterprise Application 개발을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 Java Application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하부구조를 포괄적으로 제공한다.
    • Spring이 하부구조를 처리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Application 개발에 집중할 수 있다.
  • 간단히 스프링(Spring)이라고도 불린다.
  • 동적인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 대한민국 공공기관의 웹 서비스 개발 시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전자 정부 표준 프레임워크의 기반 기술.

참고자료

Bean이란

  • 컨테이너 안에 들어있는 객체
  • 컨테이너에 담겨있으며, 필요할 때 컨테이너에서 가져와서 사용
  • @Bean을 사용하거나 xml 설정을 통해 일반 객체를 Bean으로 등록할 수 있고, Bean으로 등록된 객체는 쉽게 주입하여 사용 가능

Bean 생명주기

  • 객체 생성 -> 의존 설정 -> 초기화 -> 사용 -> 소멸
  •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생명주기 관리
  • 스프링 컨테이너 초기화 시 빈 객체 생성, 의존 객체 주입 및 초기화
  • 스프링 컨테이너 종료 시 빈 객체 소멸

Bean 초기화 방법 3가지
1. 빈 초기화 메소드에 @PostConstruct 사용
: 빈 정의 xml에 <context:annotation-config></context:annotation-config> 추가
2. InitializingBean 인터페이스의 afterPropertiesSet() 메소드 오버라이드
3. 커스텀 init() 메소드 정의
: 빈 정의 xml에 init-method 속성으로 메소드 이름 지정
: 또는 빈 초기화 메소드에 @Bean(init-method="init") 지정

Bean 소멸 방법 3가지
1. 빈 소멸 메소드에 @PreDestroy 사용
: 빈 정의 xml에 <context:annotation-config></context:annotation-config> 추가
2. DisposableBean 인터페이스의 destroy() 메소드 오버라이드
3. 커스텀 destroy() 메소드 정의
: 빈 정의 xml에 destroy-method 속성으로 메소드 이름 지정

Bean Scope

  • singleton (defalut)
    • 애플리케이션에서 Bean 등록 시 singleton scope로 등록
    • Spring IoC 컨테이너 당 한 개의 인스턴스만 생성
    • 컨테이너가 Bean 가져다 주입할 때 항상 같은 객체 사용
    • 메모리나 성능 최적화에 유리
  • prototype
    • 컨테이너에서 Bean 가져다 쓸 때 항상 다른 인스턴스 사용
    • 모든 요청에서 새로운 객체 생성
    • gc에 의해 Bean 제거
  • request
    • Bean 등록 시 하나의 Http request 생명주기 안에 단 하나의 Bean만 존재
    • 각각의 HTTP 요청은 고유 Bean 객체 보유
    • Spring MVC Web Application에서 사용
  • session
    • 하나의 HTTP Session 생명주기 안에 단 하나의 Bean만 존재
    • Spring MVC Web Application에서 사용
  • global session
    • 하나의 global HTTP Session 생명주기 안에 한 개의 Bean 지정
    • Spring MVC Web Application에서 사용
  • application
    • ServletContext 생명주기 안에 한 개의 Bean 지정
    • Spring MVC Web Application에서 사용

Container란

  • 컨테이너는 보통 인스턴스 생명주기를 관리하며, 생성된 인스턴스들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다시말해, 컨테이너란 당신이 작성한 코드의 처리과정을 위임 받은 독립적인 존재라고 생각하면 된다. 컨테이너는 적절한 설정만 되어있다면 누구의 도움 없이도 프로그래머가 작성한 코드를 스스로 참조한 뒤 알아서 객체의 생성과 소멸을 컨트롤해준다.
  • Spring Framework는 다른 프레임워크들과 달리 컨테이너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컨테이너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IoC 패턴이다.

IoC란

  • IoC(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란
    • 객체의 생성에서부터 생명주기의 관리까지 모든 객체에 대한 제어권이 바뀐 것을 의미, 또는 제어 권한을 자신이 아닌 다른 대상에게 위임하는 것이다.
    • 이 방식은 대부분의 프레임워크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개발자는 필요한 부분을 개발해서 끼워넣기의 형태로 개발하고 실행하게 된다. 프레임워크가 이러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개발자는 프레임워크에 필요한 부품을 개발하고 조립하는 방식의 개발을 하게 된다.
    • 이렇게 조립된 코드의 최종 호출은 개발자에 의해서 제어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워크의 내부에서 결정된 대로 이뤄지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제어의 역전"이라고 표현한다.
  • Spring에서의 IoC
    • Spring Framework에서 지원하는 Ioc Container는 우리들이 흔히 개발하고 사용해왔던 일반 POJO(Plain Old Java Object)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며, 생성된 인스턴스들에게 추가적인 기능들을 제공한다.
  • 라이브러리와 프레임워크의 차이
    • IoC의 개념이 적용되었나의 차이
    •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코드는 애플리케이션의 흐름을 직접 제어한다. 단지 동작하는 중에 필요한 기능이 있을 때 능동적으로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뿐이다.
    • 반면에 프레임워크는 거꾸로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프레임워크에 의해 사용된다. 보통 프레임워크 위에 개발한 클래스를 등록해두고, 프레임워크가 흐름을 주도하는 중에 개발자가 만든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사용하도록 만드는 방식이다.

DI란

  • DI란
    •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
    • Dependency Injection은 Spring 프레임워크에서 지원하는 IoC의 형태이다.
    • DI는 클래스 사이의 의존관계를 빈 설정 정보를 바탕으로 컨테이너가 자동적으로 연결해주는 것을 말한다. 개발자들은 제어를 담당할 필요없이 빈 설정 파일에 의존관계가 필요하다는 정보만 추가해주면 된다.
      • 컨테이너가 실행 흐름의 주체가 되어 애플리케이션 코드에 의존관계를 주입해 주는것.
  • 의존성(Dependency)
    • 현재 객체가 다른 객체와 상호작용(참조)하고 있다면 다른 객체들을 현재 객체의 의존이 한다.
  • 의존성이 위험한 이유
    • 하나의 모듈이 바뀌면 의존한 다른 모듈까지 변경되어야 한다.
    • 테스트 가능한 어플을 만들 때 의존성이 있으면 유닛테스트 작성이 어렵다.
    • 유닛테스트의 목적 자체가 다른 모듈로부터 독립적으로 테스트하는 것을 요구한다.
  • DI의 특징
    • 'new'를 사용해 모듈 내에서 다른 모듈을 초기화하지 않으려면 객체 생성은 다른 곳에서 하고, 생성된 객체를 참조하면 된다.
    • 의존성 주입은 Inversion of Control 개념을 바탕으로 한다. 클래스가 외부로부터 의존성을 가져야한다.
  • DI가 필요한 이유
    • 클래스를 재사용할 가능성을 높이고, 다른 클래스와 독립적으로 클래스를 테스트할 수 있다.
    • 비즈니스 로직의 특정 구현이 아닌 클래스를 생성하는데 매우 효과적.
  • DI의 세가지 방법
    • Constructor Injection: 생성자 삽입
    • Method Injection: 메소드 매개 변수 삽입
    • Field Injection: 멤버 변수 삽입

즉 IoC를 통해 객체에 대한 제어를 Container에서 수행하고 DI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한다.

AOP

  •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란
    • Aspect Oriented Programming,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 어떤 로직을 기준으로 핵심 관점과 부가 관점을 나누고, 관점을 기준으로 모듈화하는 것
    • 핵심 관점은 주로 핵심 비즈니스 로직
    • 부가 관점은 핵심 로직을 실행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연결, 로깅, 파일 입출력 등
  • Aop의 목적
    • 소스 코드에서 여러번 반복해서 쓰는 코드(=흩어진 관심사, Concern)를 Aspect로 모듈화하여 핵심 로직에서 분리 및 재사용
    • 개발자가 핵심 로직에 집중할 수 있게 하기 위함
    • 주로 부가 기능을 모듈화
  • AOP 주요 용어
    • Aspect
      • 흩어진 관심사를 모듈화 한 것
      • Advice + PointCut
    • Target
      • Aspect를 적용하는 곳 (클래스, 메소드 등)
    • Advice
      • 실질적으로 수행해야하는 기능을 담은 구현체
    • JoinPoint
      • Advice가 적용될 위치
      • 끼어들 수 이는 지점
      • ex) 메소드 진입 시, 생성자 호출 시, 필드에서 값 꺼낼 때 등
    • PointCut
      • JoinPoint의 상세 스펙 정의
      • 더욱 구체적으로 Advice가 실행될 지점 지정
    • Weaving
      • PointCut에 의해 결정된 Target의 JoinPoint에 Advice를 삽입하는 과정
    • AOP 적용 방법
      1. 컴파일 시 적용
        • AspectJ가 사용하는 방법
        • 자바 파일을 클래스 파일로 만들 때 Advice 소스가 추가되어 조작된 바이트 코드 생성하는 방법
      2. 로드 시 적용
        • AspectJ가 사용하는 방법
        • 컴파일 후 컴파일 된 클래스를 로딩하는 시점에 Advice 소스를 끼워넣는 방법
      3. 런타임 시 적용
      • Spring AOP가 사용하는 방법
      • 스프링은 런타임 시 Bean 생성
      • A라는 Bean 만들 때 A라는 타입의 프록시 Bean도 생성하고, 프록시 Bean이 A의 메소드 호출 직전에 Advice 소스를 호출한 후 A의 메소드 호출
  • Spring AOP 특징
    • 프록시 패턴 기반의 AOP 구현체
      • Target 객체에 대한 프록시를 만들어 제공
      • Target을 감싸는 프록시는 런타임 시 생성
      • 접근 제어 및 부가 기능 추가를 위해 프록시 객체 사용
    • 프록시가 Target 객체의 호출을 가로체 Advice 수행 전/후 핵심 로직 호출
    • 스프링 Bean에만 AOP 적용 가능
      • 메소드 조인 포인트만 지원하여 메소드가 호출되는 런타임 시점에만 Advice 적용 가능
    • 모든 AOP 기능을 제공하지는 않으며 스프링 IoC와 연동하여 enterprise application의 각종 문제 (중복코드, 프록시 클래스 작성의 번거로움, 객체 간 관계 복잡도 증가)에 대한 해결책 지원 목적

POJO

번역하면 '평범한 구식 자바 객체' 즉, 프레임워크 인터페이스나 클래스를 구현하거나 확장하지 않는 단순한 클래스

  • 특징
    • java에서 제공하는 API 외에 종속되지 않음
    • 특정 규약, 환경에 종속되지 않음
  • 환경에 종속되지 않는 것의 장점
    • 코드의 간결함 (비즈니스 로직과 특정 환경/ low 레벨 종속적인 코드를 분리하므로 단순)
    • 비즈니스 로직과 특정 환경이 분리되므로 단순함
    • 자동화 테스트에 유리 (환경 종속적인 코드는 자동화 테스트가 어렵지만, POJO는 테스트가 매우 유연)
    • 객체지향 설계의 자유로운 사용

DAO와 DTO의 차이

  • DAO(Data Access Object)
    • DB의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하는 기능을 전담하도록 만든 객체를 말한다.
    • DB에 접근을 하기위한 로직과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하기 위해서 사용한다.
  • DTO(Data Transfer Object)
    • 계층간 데이터 교환을 위한 자바빈즈를 말한다.
      • 여기서 말하는 계층은 Controller, View, Business Layer, Persistent Layer 이다.
    • 일반적인 DTO는 로직을 갖고 있지 않는 순수한 데이터 객체이며, 속성과 그 속성에 접근하기 위한 getter, setter 메소드만 가진 클래스이다.
    • VO(Value Object) 라고도 불린다.
      • DTO와 동일한 개념이지만 read only 속성을 가진다.

Filter와 Interceptor 차이

Filter, Interceptor

  • 애플리케이션에서 자주 사용되는 기능(공통 부분)을 분리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Spring이 제공하는 기능

Filter, Interceptor 흐름

  1. 서버 실행 시 Servlet이 올라오는 동안 init 후 doFilter 실행
  2. Dispatcher Servlet을 지나쳐 Interceptor의 preHandler 실행
  3. 컨트롤러를 거쳐 내부 로직 수행 후, Interceptor의 postHandler 실행
  4. doFilter 실행
  5. Servlet 종료 시 destroy

Filter 특징

  • Dispatcher Servlet 이전에 수행되고, 응답 처리에 대해서도 변경 및 조작 수행 가능
    • WAS 내의 ApplicationContext에서 등록된 필터가 실행
  • WAS 구동 시 FilterMap이라는 배열에 등록되고, 실행 시 Filter chain을 구성하여 순차적으로 실행
  • Spring Context 외부에 존재하여 Spring과 무관한 자원에 대해 동작
  • 일반적으로 web.xml에 설정
  • 예외 발생 시 Web Application에서 예외 처리
  • ex) 인코딩 변환, XSS 방어 등
  • 실행 메소드
    • init(): 필터 인스턴스 초기화
    • doFilter(): 실제 처리 로직
    • destroy(): 필터 인스턴스 종료

Interceptor 특징

  • Dispatcher Servlet 이후 Controller 호출 전, 후에 끼어들어 기능 수행
  • Spring Context 내부에서 Controller의 요청과 응답에 관여하며 모든 Bean에 접근 가능
  • 일반적으로 servlet-context.xml에 설정
  • 예외 발생 시 @ControllerAdvice에서 @ExceptionHandler를 사용해 예외 처리
  • ex) 로그인 체크, 권한 체크, 로그 확인 등
  • 실행 메소드
    • preHandler(): Controller 실행 전
    • postHandler(): Controller 실행 후
    • afterCompletion(): view Rendering 후

Filter, Interceptor 차이점 요약

  • Filter는 WAS단에 설정되어 Spring과 무관한 자원에 대해 동작하고, Interceptor는 Spring Context 내부에 설정되어 컨트롤러 접근 전, 후에 가로채서 기능 동작
  • Filter는 doFilter() 메소드에 있지만, Interceptor는 pre와 post로 명확하게 분리
  • Interceptor의 경우 AOP 흉내 가능
    • handerMethod(@RequestMapping을 사용해 매핑 된 @Controller의 메소드를)를 파라미터로 제공하여 메소드 시그니처 등 추가 정보를 파악해 로직 실행 여부 판단 가능
profile
기억보다 기록, 난리보다 정리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