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관리 및 가공
-
DATA는 ABAP PROGRAM을 실행하면 소스코드에 작성해둔 룰대로 MEMORY라는 공간에 데이터를 잠시 적재.
-
차례가 되면 ABAP COMPILER에 의해 CPU에 할당하여 ABAP개발자가 작성한 로직에 따라 연산처리를 수행.
-
최종적으로 완료된 DATA를 출력형태에 맞게 조회함.
- DATA를 다루는 첫번째 DATA의 속성을 알아야함. 아래와 같은 자료형을 갖음. (C, I, F, P, STRING, N) <- 인간이 인식할 수 있는 형태의 DATA로 보관함
- SAP ABAP PROGRAMMING에서도 OOP라는 객체지향의 CONCEPT을 활용하여
DATA를 관리 함.
DATA 유형별 사례
DATA 변수라면? (하나의 공간)
- 사용자ID, 월급 같은 정보를 담는 공간으로 사용.
DATA 구조체라면? (하나의 구조체, 여러필드의 집합)
- 사용자정보로 사용가능 (사용자ID, 사용자PASSWORD, 주소, 핸드폰번호, 우편번호 등)
DATA 인터널테이블이라면? (구조체의 필드구조로 N건의 DATA를 담아두는 LOCAL 테이블)
- 스터디원 사용자정보를 모두 담고 있는 데이터 공간 (스터디원 정보.)
동의어 정리
- 구조체는 Structure = Work Area = Header Line
- 인터널 테이블 Internal Table = Body
어떤 데이터를 담을 것인가?
- 하나의 필드(데이터를 담는 공간)
- 숫자 (정수형, 실수형, 부동소수 등등)
- 문자 (문자, 문자열, 숫자문자 등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