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싹X코딩온] 웹 개발자 부트캠프 과정 1주차(1) - git

임진우·2024년 10월 23일
0

대망의 코딩온 1주차 수업 두둥..!!
설렘반 걱정 반으로 도착했는데 다행스럽게도 오티날이라 별다른 수업을 진행하지는 않으셨다.
간단히 차후 수업 과정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이랑 자기 소개 같은 아이스 브레이킹 시간.
엘리 리더님. 이 수업에서 나는 크루원 교육해주시는 분은 리더님이라는 호칭을 사용해야 한다. 리더님이라는 호칭이 아직 입에 붙지 않아 조금 낯설게 느껴진다. 면접부터 뵀던 분이라 무섭다고 생각했는데 분위기를 편하게 풀어주려고 하시는 것 같아 좋았다.

오티날이라 수업은 진행하지 않고 간단하게 프로그램을 설정하는 일만 진행했다.
그중에 배운 것은 git.
예전에 생활코딩 교육을 보면서 홈페이지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git에서 네트워크 호스팅을 대신해줘야 한다고 배웠었다. 그래서 이름은 익숙했지만 git이 뭔지는 몰랐던 상태.

우선 배우기에 앞서 git을 설치했다. 설치는 간단했지만 git bash라는 프로그램으로 추가적인 설정을 진행해주어야 했다.

자세한 것 까지는 완전히 모르겠지만 간단한 명령어를 기억해보자면

  • cd + 파일명 : 그 파일로 이동하는 명령어
  • mrdir + 파일명 : 파일을 생성하는 명령어
  • li : 현재 어떤 파일들이 있는지 보는 명령어 등이 있었다.

그리고 git에서 repository, 즉 저장소를 생성한 후

이 명령어를 깃 배쉬에 입력해줬던 것 같다.
언뜻 보기에 복잡해보였는데 다시 봐도 복잡하다.

그리고

1) git init : git init은 초기화를 의미하므로 초기 설정 시 한번만 실행해야 한다. 깃 배쉬를 실행할 때 마다 깃이닛을 했다가 깃 배쉬에 오류가 생겼다 ㅠㅠ
2) git status : 현재 변경된 파일이 무엇이 있는지 나타내 준다.
3) git add . : 깃에 올릴 파일을 추가하는 과정
4) git commit -m "메세지" : 변경사항을 저장하는 메시지를 설정
5) git push -u origin main : 로컬 저장소(내 컴퓨터) 원격 저장소 ( 깃 허브로 ) 파일을 푸쉬한다.

위 과정으로 깃에 내 작업물을 전송해주면 된다.
git init을 실행했을 때 뒤에 파란색으로 (main) 표시가 나타나야 한다.

그리고 git add . 작성시 온점을 띄어쓰기 해야한다.

아직까지 깃의 중요성이 체감되지는 않지만 리더님께서
추후 프로젝트 시 코드를 진행할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고 하셨다.
코드를 일일이 복사 붙여넣기 해서 주고 받기는 너무 번거로우니 그때가면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잔디심기를 통해 내가 했던 작업물들이 나중에 취업시에 도움이 될 거라고도 하셨다.

뭔가 정신없이 흘러간 하루였다.

profile
티스토리 이전중입니다 https://ijw98.tistory.com/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