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EC2 인스턴스 생성하기
들어가기 전에
Region을 서울로 바꾼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f7db4c66-3f16-4ba8-9538-3edacc05d33b/image.png)
1. 인스턴스 생성하기 클릭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0d498e42-3e87-4d60-9079-2e0426de2d33/image.png)
2. Ubuntu 선택하기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835b1531-11c3-46c0-8bac-2e275a3f0630/image.png)
3. t3.small 선택하기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61dcf479-1169-4330-b141-21e7fcfc1ba3/image.png)
4. 키페어 넣기
키페어가 있으면 그대로 사용한다
4-1. 키페어가 없을 경우 새로 생성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8b2ee00f-d823-43a5-a5f1-da0498487f81/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c3412a34-fb37-43ba-b2dc-4ae6d0013eab/image.png)
5. 네트워크설정에서 모든 트래픽 허용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c06e5a5c-44e3-4969-b0c4-e701baa7a62e/image.png)
6. 스토리지 구성
적은 메모리만 사용할 것이기에 그대로 둔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1fd6cf7b-b324-4845-979d-b386b96b2845/image.png)
7. 고급 세부정보에서 스팟 인스턴스 요청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d1aa852f-14e3-4944-9134-fe7002dc1d40/image.png)
8. 인스턴스 시작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c7143ac9-f19e-4ad1-aec8-5f714cbd0dc3/image.png)
EC2 띄우기 (mac)
1. 인스턴스 연결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7c19a009-944f-4434-a561-8ebd9826a758/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7ad4657b-515f-436f-b0a6-5ed30bc73210/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194e88d1-0cef-4ea9-85b2-32ed5f889421/image.png)
1-1. 터미널에서 .pem이 저장되어 있는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a0b06a0b-a13b-4446-93c6-04815fcf8afa/image.png)
1-2. 3번과 4번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6008a496-5289-4cc8-b006-653a74c359e3/image.png)
chmod 400 ec2-exercise.pem --> 권한 수정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8eb9a0e1-fa13-4601-80a7-83d56c621134/image.png)
퍼블릭 DNS을(를) 사용하여 인스턴스에 연결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6c2a9c48-6d2a-4133-9eab-7901e64bd1d2/image.png)
1-3. 관리자권한으로 바꾼다
sudo su -
위 명령어를 사용하면 ubuntu에서 root로 바뀌어 관리자권한으로 접근하는 것이다. 이제 도커, mysql 등 설치가 가능하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31b7e141-fefa-44c3-9da0-60fe2428a7b2/image.png)
Docker 설치하기
1. git 디렉토리만들기
mkdir git
2. git 디렉토리로 이동
cd git
3. 도커 설치를 위해 깃허브에서 클론
git clone https://github.com/Kyeongrok/docker_minikube_kubectl_install
<위 깃허브는 김경록 강사님의 깃허브를 사용하였습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2589ff2b-96ed-4167-83ef-1fe74e237e08/image.png)
4. 현재 폴더 확인 후 docker_minikube_kubectl_install 폴더 가기
ll 로 현재 디렉토리를 세로로 확인 후
cd docker_minikube_kubectl_install
5. 도커 설치
sh docker_install.sh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38a23fab-b0ef-4f05-b798-a6559b3b977e/image.png)
6. 도커에 컨테이너 만들기
docker run -p 80:80 -d nginx
-> 도커로 nginx 이미지를 이용해 컨테이너를 실행하되, 호스트의 80포트를 컨테이너의 80포트로 붙여고 deamon을 실행해라
- p : port의 줄임말 —> Host와 컨테이너의 포트포워딩 옵션입니다.
- d : daemon의 줄임말 —> detached mode로 백그라운드 모드를 의미합니다.
- e : 컨테이너 내 환경변수를 설정할 때 사용합니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b79cb928-7073-42cc-9d49-ac54997cc9fd/image.png)
도커를 통해 mysql 설치 및 연결
1. mysql 설치 명령어 사용
docker run -p 3306:3306 -e MYSQL_ROOT_PASSWORD=1234 -d mysql
2. mysql workbench와 연결하기
2-1. 커넥션 생성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005b1d99-d8bc-4171-943c-c67248f94d0c/image.png)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d27890bc-0c9c-411a-9a71-973208043204/image.png)
위에서 복사한 것을 hostname에 넣는다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bf428473-62a1-4114-86ba-d3bfcbe90aba/image.png)
password는 위에서 설정한 1234
2-2) 연결 오류 발생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40452819-9472-43d4-bc89-85a12610b47b/image.png)
로컬호스트 포트가 연결되어 있지 않다.
2-3) 인스턴스 보안 클릭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e541768d-12be-4bf7-9888-b487fe3446b2/image.png)
2-4) 인바운드 규칙 클릭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365ae2f4-198d-4e7e-8630-3cc611a3ee01/image.png)
2-5) 규칙추가 후 사용자 지정 TCP를 MYSQL로 바꾸고 소스 0.0.0.0/0 바꾸기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30450de7-d2ee-4195-a8ee-ab495a567950/image.png)
2-6) 워크벤치 다시 접속 후 클릭하면 성공
![](https://velog.velcdn.com/images/wlsgur1533/post/ff3bfbc4-67d8-4cd9-a740-acd2df9f3747/image.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