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가 가지고 있는 기능
파일시스템의 종류와 어떻게 쓰이는지
사용자가 입력한 모든 명령어를 읽어서 해석한 후 운영체계에 전달하여 실행을 요청하는
명령어를 해석하는 것
bash
어떻게 동작하는지?
사진
사용자 > 프로그램 > 셸 > 커널 > 하드웨어
CentOS7 설치
ls : list의 줄임말, 디렉토리 목록 나열하기
pwd : 현재 작업 디렉토리 보여주기
cal : cal 2024
date : 현재시각 날짜출력
timedatectl : 날짜와 시간
clear : 명령어와 결과를 없애줌
history : 명령어 이력
!n : n번째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시킴
ex. !1 : 1번째에 저장된 명령어 실행
!5 : 5번째에 저장된 명령어 실행
-d 3 : 3번째 위치에 있는 history 명령어 삭제
-c : history 모두 삭제
uname
-a : a는 all의 줄임말
-n : 호스트네임 확인 ⭐
arch 현재 사용 중인 컴퓨터의 CPU에 대한 정보 확인
env 환경변수에 대한 정보 확인
환경변수? 필요한 정보, 경로, 값
문자열 표준 출력
echo 지정한 문자열 및 환경변수 표준출력 ⭐
echo 옵션 이스케이프 (이스케이프 : 문자열)
\n : **줄 바꿈** 문자 출력 ⭐
\t : 수평 탭 정렬 tab ⭐
\\ : 역슬래시 (또는 \) 출력 ⭐
명령어가 존재하는 디렉토리 경로 확인 : which
어느 디렉토리에 존재하는지 확인
ifconfig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설정하는 명령
목적 - 리눅스 터미널상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확인하고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함
su - centos(접속하고있는 계정명)
su - 계정명, 현재 사용자 변경하는 명령어
하면 바뀜
리눅스 시스템에서는 모든 처리과정을 파일단위로 처리한다
: 파일을 구별, 구분자, 구별자
하나의 파일을 번호다. Index node의 줄임말
데이터가 저장하는 블록
디렉터리 (파일) = 윈도우의 폴더
리눅스는 파일로 관리한다
윈도우에서 있는 파일과 폴더 둘다 리눅스에서는 파일로 인식한다.
usr
디렉토리 ⇒ 트리구조 (가지처럼 뻗어나가는 구조)
일반 파일 : 데이터를 관리하는 일반 파일 : 텍스트, 이미지, ...
디렉터리 파일 : 리눅스에서는 디렉터리 역시 파일로 취급, 트리 구조로 관리
링크 파일 :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하는 파일로 I-node와 연결, 바로가기 파일
특수 파일 : 리눅스가 지원하는 파이프, 소켓, 주변장치(디바이스)를 의미
디렉터리
- 디렉터리의 종류
- 용도
- 작업 디렉터리 : 현재 사용중인 디렉터리, .으로 표기, pwd 명령어로 확인가능
- 홈 디렉터리 : 사용자별 지정 루트 디렉터리, 틸드(~), cd로 이동 가능
- 위치 구분
- 절대 경로 : 루트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위치를 표기, 중간의 /는 모두 디렉터리
- 상대 경로 : 루트가 아닌 다른 작업 디렉터리를 기준으로 경로를 표기, .은 자기 자신, ..은 상위 디렉터리
change directory, 디렉토리 위치 이동
cd 디렉토리명 (절대경로, 상대경로 모두 가능)
cd만 명령할 경우, 해당 계정의 루트 폴더로 이동한다
cd /lib : 절대경로
cd ~ : 홈으로 갈 때
cd : 홈으로 갈 때
cd./ : 현재 경로 기준
list 현재 디렉터리 내용 확인
- a : 모든 파일 출력
- F : 파일의 종류 확인
- - : 일반 정규 파일
- d : 디렉터리
- l : 심볼릭 링크
- ls : 디렉터리에 존재하는 내용 확인
- ls -F 디렉토리 파일(폴더) ( /가 붙어나온거 디렉터리파일 )
ls -aF
ls -al 자주 쓰임 ⭐
d 디렉토리,
안붙은건 파일,
r 심볼릭파일
숨긴 파일도 포함한 상세 목록 나열
심볼릭 링크 dir
ls는 find와 다르다. 해당 파일이 존재하는지 확인
make directory 디렉터리 생성
- p : 중간 디렉터리 자동 생성
- 디렉토리 생성하고 지우기
mkdir home1 home2 home3
rmdir home1 home2 home3
mkdir -p home1/home2/home3 생성
rmdir -p home1/home2/home3 제거
ls -R 다 보여줌
remove directory 디렉터리 삭제
- p : 중간 디렉터리 자동 삭제
- 지우기
rmdir home1/home2/home3 하면 home3만 지워짐
rmdir home1 해도 다 안지워짐
다 지우려면 rmdir
rmdir 은 하나씩 밖에 못 지움
rmdir -p home1/home2
: 디렉터리 삭제
- 파일 지울 때
-r 디렉토리명
-f 파일명
기억!!⭐
루트 디렉터리 /를 기준으로 제공되는 디렉터리를 의미
반드시 루트를 위미하는 /로 시작해야 함 (하위 폴더)
중간에 나오는 것은 디렉터리의 지나가는 부분을 의미함
루트/가 아닌 것
표현 2가지
e를 기준으로 g를 어떻게 표현? ../../c/g
/ 최상위 경로를 의미, 절대 위치 기준
./ 현재 디렉토리(폴더)를 의미
../ 현재 위치 상위 디렉토리를 의미
~/ Home 위치 기준
touch -t
권한
수정
파일복사 copy의 줄임말
r은 디렉토리에 대한거, 디렉토리를 복사할 때 사용
cp test1 ..
위에있는곳으로 옮김
cp -i test1 ../
execute 실행하다 exec
cat
파일내용 연속출력
cat -n
more
- : file
d : directory
l :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