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OSI 7계층 모델을 기반으로 실무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실용성에 맞춰 단순화시킨 계층(TCP/IP Model) 모델
= OSI 계층의 응용 계층 + 표현 계층 + 세션 계층
: TCP/UDP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을 구현할 때 사용하는 계층
= OSI 계층의 전송 계층
: 통신 노드 간의 연결을 제어하고,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는 계층
= OSI 계층의 네트워크 계층
: 통신 노드 간의 IP 패킷을 전송하는 기능 및 라우팅을 담당하는 계층
= OSI 계층의 데이터 링크 계층 + 물리 계층
: 물리적인 주소로 MAC을 사용하는 계층
클라이언트가 웹 페이지를 보기 위해 HTTP 요청을 지시한다.
HTTP 메시지를 생성하여 소켓을 통해 전달한다.
🔗 네트워크 소켓(Socket)
: 프로그램이 네트워크에서 송수신할 수 있도록, 네트워크 환경에 연결할 수 있게 만들어진 연결부
응용 계층에서 받은 데이터(HTTP 메시지)에 TCP 헤더를 붙여 전달한다. → TCP 세그먼트가 생성된다. 📦
이때, TCP 헤더에는 IP 패킷의 정보를 보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IP 헤더를 추가해 전달한다. → IP 패킷이 생성된다. 📦
이때, IP 패킷은 전송 데이터를 무사히 전송하기 위해 출발지 IP, 목적지 IP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 패킷 교환 방식 (Packet Switching)
: 패킷(packet)이라는 단위로 데이터를 잘게 나누어 전송하는 방식
이렇게 생성된 TCP/IP 패킷에 MAC 주소를 추가하고,
LAN 카드와 같은 물리적 계층을 지나기 위해 이더넷 프레임에 포함시킨다.
그러고나서 수신측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수신측 서버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에서 데이터를 받아 상위 계층으로 전달한다.
...
데이터가 수신측 서버의 응용 계층에 도달하면, 마침내 클라이언트가 발신한 HTTP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이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여 작성한 글입니다.
쉽게 이해하는 네트워크 7. TCP/IP 계층의 특징과 역할 및 프로토콜
4부터 1로 순서를 메김하시다니 신박합니다. 4부터 등장해서 순간 위에 못보고 내려왔나? 다시 올라갔어요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