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나하나의 Element(HTML)들을 담고 있는 웹페이지를 Document라고 하는데, 이를 브라우저는 분석해 페이지를 띄워주는 방식입니다.DOM이란 이런 HTML element들을 tree형태로 표현한 것 입니다.DOM tree안에는 각각의 element에 상응하는

클래스 컴포넌트에서만 적용되며 함수 컴포넌트에서는 훅(Hook)을 사용하여 상태와 라이프 사이클을 관리함수형 컴포넌트 사용 지향 하지만클래스형 컴포넌트 이해가 되면 더욱 함수형 컴포넌트 훅을 이해하는데에 도움리액트 라이프사이클은 컴포넌트가 생성부터 소멸까지의 여러 단계
클래스 형식의 리액트 컴포넌트에서만 할 수 있었던 state관리나 라이프사이클등을 함수 형태컴포넌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기능사용규칙!!훅은 최상위 레벨에서만 호출 가능. 즉, 반복문, 조건문, 중첩된 함수 내부에서 호출하면 안됨.훅은 오직 리액트 함수 컴포
컴포넌트의 수명 : 페이지가 렌더링 될때 ~ 페이지가 사라질 때를 말함마운트가 될 때 (DOM이 생성 되고 웹 브라우저 상에서 나타날 때)업데이트 될 때 props가 바뀔 때state가 바뀔 때부모 컴포넌트가 리렌더링 될 때this.forceUpdate로 강제트리거가
SPAvsMPA: SPA(단일 페이지 애플리케이션)는 페이지를 동적으로 업데이트하며 사용자 경험을 향상시키는 반면, MPA(다중 페이지 애플리케이션)는 각 페이지를 새로고침하여 전체 페이지를 다시 불러와야 함.SSRvsCSR: SSR(서버 사이드 렌더링)은 서버에서 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