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ode.js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Node.js는 아래와 같다.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 "Node.js는 크롬 V8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빌드된 런타임이다." (여기서 런타임이란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는 환경을 뜻함)
과거에 Node.js가 존재하기 전까지는 자바스크립트 언어를 통해 서버사이드, 즉 컴퓨터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게 불가능했으며 브라우저 만 건드릴 수 있었다. 다른 언어인 C, 파이썬, 자바를 사용해 보았다면 알 수 있을 텐데, 이 3가지 언어로는 파일시스템을 통해 파일을 불러와서 읽고 쓰는 등 컴퓨터와 상호작용하는 작업이 가능하다. 그러나 Node.js가 생기기 전의 자바스크립트는 이러한 작업이 불가능했다.
쉽게 말해, Node.js를 통해 자바스크립트도 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쓰일 수 있게 된 것이다.
우선 https://nodejs.org/ 에 가서 Node.js를 설치해야 한다.
설치가 다 됐으면 윈도우 검색창에 cmd를 쳐서 커맨드라인 입력창에 node -v 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이 버전이 뜰 것이다. 그러면 설치가 잘 된 거고, 아니면 안 된 거다.

그 다음으로는 npm을 알아야 하는데, npm은 Node Package Manager의 약자로, 쉽게 말해 사람들이 이미 만들어 둔 패키지를 사용하게 해주는 것이다. 이미 만들어 둔 걸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더 쉽게 개발을 할 수 있게 된다.
시작을 위해서 VS code에 폴더를 하나 생성하고 터미널에 npm init 이라고 친 뒤, 설정 정보를 입력해주면 (그냥 enter키로 넘겨도 됨) 현재 폴더에 한해서 npm 패키지를 다운받을 수 있게 된다.

다시 한 번 폴더를 보면 package.json이라는 파일이 생긴 걸 볼 수 있는데, package.json이 우리가 이후에 설치할 패키지들의 정보가 등록될 공간이라고 보면 된다.

우리가 다운받은 모듈들은 모두 package.json 파일 안에 dependencies라는 객체 안에 등록되는데, 필자는 이미 express라는 모듈을 다운받았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express와 그 버전이 등록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패키지를 설치하고 나면 node_modules라는 폴더가 생성되고 이곳에 패키지 관련 파일들이 모두 저장될 것이다.

그리고, 이런 모듈들 덕에 우리는 파일 시스템 등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근데 사실 모듈을 다 기억할 필요는 없고, 처음에 프로그램 개발을 시작하면서 알아두면 좋은 것만 아래에 짧게 작성해보려고 한다.
우선 모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const 변수명 = require('모듈명');
/*
예로,
const fs = require('fs');
와 같이 임포트 해주면 된다.
그러면 이 fs를 통해 fs모듈에 들어 있는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
fs
fs 모듈은 파일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게 해주는 모듈이다.
(파일을 로컬 환경으로부터 읽고, 쓰고, 수정하고, 삭제하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해준다.)
path
path 모듈은 파일 또는 폴더의 경로와 관련되는 모듈이다.
os
os는 운영체제와 관련되는 모듈이다.
https
https 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한 작업과 관련되는 모듈이다.
(이걸 통해 외부 웹사이트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는 등의 작업을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모듈은 많지만, 그냥 이런 식으로 우리가 Node.js로 프로그래밍하면서 모듈을 통해 컴퓨터와 상호작용을 할 수도 있고 여러 작업에 모듈이 필요하다는 것만 알아두면 될 것 같다.
만약 모듈에 대해 더 알고 싶다면 공식 문서를 확인하자.
--> https://nodejs.org/ap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