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로 폴더, 파일 등의 권한을 부여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
각 파일별 권한은 ls -l 명령어로 확인이 가능하다.
첫 글자를 제외한 9개의 칸은 각 3칸씩 owner, group, other를 뜻하며, 첫 글자는 폴더일 경우 d, 아닐 경우는 -로 대체된다.
owner는 주로 user가 되고 프로젝트에서는 개개인마다 권한을 부여하기보다는 그룹에 포함시켜 그룹 권한을 주는 편이 더 낫다고 한다. other은 파일을 만들지 않은 모든 사람으로, global 권한 설정이라고도 볼 수 있다.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CLI로 설정하는 방법은 Symbolic method와 Absolute form으로, 두 가지가 있다.
- `chmod u+rwx urclass.js`
- `chmod go-rwx urclass.js`
chmod 700 urclass.js
su (switch user)
현재 계정을 로그아웃 하지 않고, 다른 계정으로 전환하는 명령어
option
로그아웃 시
exit 또는 logout
sudo(super user do)
명령어를 root의 권한을 빌려 사용(일회성)
sudo 명령어
=> root 권한으로 명령어 실행
sudo 명령어 예제 (sudo [command])
sudo 명렁어를 실행하게 되면 root 권한으로 명령어를 실행하게 됩니다.
즉, 하나의 명령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root 권한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실행하기 전 현재 사용자의 비밀번호를 물어봅니다.
su 와 sudo 의 차이점
su는 계정을 전환하기 위한 것이고,
sudo는 권한을 빌려 명령어를 실행하기 위한 것입니다.
아래는 su 명령어와 관련하여 계정의 전환 확인과 이전 계정으로 돌아가는 명령어입니다.
whoami
현재 사용자를 확인하는 명령어
logout / exit
전환 전 계정으로 돌아가는 명령어
운영체제가 굴러가는 데 필요한 변수들의 모임이다. 즉, 자바스크립트 내의 변수처럼 컴퓨터 내에 저장되어있는 전역변수라는 것이다.
API_KEY나 DB password처럼 네트워크를 통해 공개되면 안되는 민감한 정보들을 소스 내에서 선언하는게 아닌 컴퓨터 내에 설정을 하여 필요할 때마다 사용할 수 있게 저장하는 것.
export myComputerAPI = 'ab020dkcmz'; => 임시적용
echo $myComputerAPI
mkdir environment_variable
cd environment_variable
npm init //# 엔터 키를 여러번 입력해 init을 마칩니다.
npm i dotenv //# dotenv 모듈을 설치합니다.
console.log(process.env)
=> export와 동일한 값 출력
(.env)
nano .env
cat .env
myname = 'kimcook'
==============================
(index.js)
const dotenv = require('dotenv');
dotenv.config();
console.log(process.env.myname)
=> 'kimcook' 출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