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I는 두 프로그램 사이에 사이의 통신(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코드이다.\-개발자는 API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작성할 수 있다.\-RESTful API는 데이터를 GET,PUT,POST, DELETE 할 수 있도록 HTTP 요청을 사용하는 A
Path Parameter는 경로 매개변수로 위의 코드에서 profile함수의 username에 해당한다.url이 만약에 http://127.0.0.1:8000/user/junehwan 이라고 한다면 여기서 user/ 뒤에 junehwan을 입력하여 이를 매개
Pydantic은 파싱을 도와주는 라이브러리로 모델을 사용할 때 보통 Pydantic의 BaseModel을 상속받아 사용한다.위의 코드에서 Profile, Product, User 클래스는 BaseModel를 상속받아 각 클래스 만의 변수를 담고 있다.post란 HTT
우선 product에는 각 상품마다의 id와 상품이름, 상품에 대한 설명, 가격이 존재하므로 위와 같이 모델을 만들었다.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고 코드를 실행하면 위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id, name, description, price가 생기고 이 때 id는 p
Product not found라는 문구를 출력하여 에러를 제어한다.3-2 product가 있다면 해당 product 객체를 read한다.
path 파라미터를 통해 원하는 id에 해당하는 product를 택한다.product의 name, description, price에 대해 업데이트 할 항목에 대해서 새로 작성한다.업데이트한 product를 Database에 반영한다초기 dbupdate 이후 dbpat
id, username, email, password, products라는 속성을 가지고 있음여기서 products란 Product모델과의 연결을 위해 relationship을 통해 product와 연결한 것을 의미함product 객체에 대해서 post를 통해 데이터베
데이터를 받고 랜덤으로 생성한 SECRET_KEY를 이용해 인코딩해 토큰을 생성하였다.맨 위 그림의 오른쪽처럼 원하는 기능을 잠금하여 2번째 그림처럼 로그인을 통해 인증을 해야만 원하는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