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번 시간에는 DI 가 뭔지 IOC 가 뭔지에 대해 공부 해봤다. 이번에는 좀 더 깊게 들어가보자.Spring 이전에 SpringBoot부터 써서 왜 이렇게 써야 하는지 몰랐던 부분을 정리 해봤다.요즘은 애노테이션을 사용하는 추세이지만 그전에 사용했던 방법, 그리고 왜
간단히 말해 XML Bean 태그 안에 객체 생성부분을 대체하는 애노테이션이다.스프링이 생성하지도 관여하지도 않고 이러한 이유로 XML 안을 들여다 볼 이유가 없다.그래서 여기서 중요한점은 Autowired 처럼 Component 애노테이션을 읽는 설정을 따로 해줘야
스프링 인젝션에 관한 좋은글이 있어서 남긴다.인젝션은 크게 필드, 생성자, 세터 인젝션이 있는데 생성자 인젝션 사용이 크게 권장된다. 생각없이 편한 필드 인젝션만 써오던 나로써는 개인프로젝트 진행시에 발생했던 오류로 이부분에 대해 더 자세히 공부하게 되었다.인젝션을을
이번 시간에는 간단하게 SpringBoot / JPA / 웹서버 / 톰캣 등등 항상 내가 사용하고 있지만 정확한 flow를 파악하지 못해 전체적인 흐름 정리 및 복습시간을 가졌다.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자바 class 가지고
로그인 패키지 구조 도메인과 웹으로 구분해준다. 도메인 : 화면, UI, 기술 인프라 등등의 영역은 제외한 시스템이 구현해야 하는 핵심 비즈니스 업무 영역을 말함 웹 : 화면 , UI .. 회원가입 구현 repo 타임리프 폼은 어렵지 않아 설명은 생략한다.
서블릿은 크게 두가지 방법으로 예외 처리를 한다1\. Exception2\. response.sendError(상태코드,메시지)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예외가 발생한경우 try-catch 문으로 예외 처리를 하면 아무 문제가 되지 않지만 그렇지 않다면 예외는 그부모 클래스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