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0129?language=kotlin
Level 2
0과 1로 이루어진 어떤 문자열 x에 대한 이진 변환을 다음과 같이 정의합니다.
x의 모든 0을 제거합니다.
x의 길이를 c라고 하면, x를 "c를 2진법으로 표현한 문자열"로 바꿉니다.
예를 들어, x = "0111010"이라면, x에 이진 변환을 가하면 x = "0111010" -> "1111" -> "100" 이 됩니다.
0과 1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s가 "1"이 될 때까지 계속해서 s에 이진 변환을 가했을 때, 이진 변환의 횟수와 변환 과정에서 제거된 모든 0의 개수를 각각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import kotlin.math.abs
class Solution {
var count = 0
var zeroCount = 0
fun solution(s: String): IntArray {
var answer: IntArray = intArrayOf()
twoToString(s)
answer += count
answer += zeroCount
return answer
}
fun twoToString(x: String) {
if (x == "1") return
val filteredZeroS = x.filter { it == '1' }
zeroCount += abs(x.length - filteredZeroS.length)
var num = filteredZeroS.length
var result = ""
while (num >= 1) {
result = (num % 2).toString() + result
num /= 2
}
count++
twoToString(result)
}
}
사실 굳이 이렇게 길어질 필요가 없는 풀이였는데 나는 알고리즘 풀 때 자꾸 DFS로 푸는 버릇이 있는 거 같다. 유독 재귀로 푸는게 잘 풀린단 말이지.
해당 문제는 끝까지 읽기만 한다면 통과하는데 무리없다! 메서드 분리없이 한 메서드에서 푼 사람들도 있는데 특이했던건 string replace와 Integr.toBinaryString()
으로 푼 사람도 있다. 해당 함수가 있는지도 몰랐는데 시간 제한이 없다면 해당 함수들을 써도 될 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