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서버 가격 비교

Wolfsil·2023년 11월 15일
0

클라우드

목록 보기
1/1
  1. 기능가성비: aws. 기능이 다양하고 클라우드의 기준점 역할을 함
    -단점: 비쌈
    -단점2: 이상한거에도 값을 매겨놓아서 예측성 떨어짐
    -장점: 압도적인 선택지들과 자료
  2. 슈퍼가성비(추천): 오라클을 쓸것(aws처럼 스팟인스턴스 없어도 가격이 절감)
    -단점: 오로라가 없는게 단점(db를 직접 깔아야한다)
    -단점2: aws보다 절반 이상 싸지만 스팟인스턴스보단 비싼 편
    -장점: 스팟보다 비싸다 해도, 스팟은 불안정성이 있으나 오라클은 덜함
    -장점2: 썩어도 대기업
    -장점3: 네트워크가 매우 싸고, 성능이 10프로 더 좋음
    =aws를 엄청나게 잘쓴다고 해도 오라클보단 비쌀확률이 더 높음
  3. 정말 쉽게 사용하고프면: 파이어베이스
    -단점: 하이퍼비쌈
    -단점2: 클라이언트에게 책임을 맡기는건 솔직히 보안상....
    -장점: 슈퍼 편함.
  1. 국내에서 가장싼곳: iwinv
  2. 국내에서 저렴하지만 신뢰성있는곳: nhn
  3. aws는 죽어도 쓰기 싫지만 대기업의 지원이 필요: 구글클라우드플랫폼
  4. 절대 비추천: 중국의 클라우드 전부(성능은 둘째치고 중간에 수상한 딜레이가 종종일어난다)
    벌쳐, 디지털오션(오라클보다 별 메리트 없고, r2보다 비싸며, 성능떨어짐)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자사 운영체제도 비싸게 받을 정도. 안씀)

S.스토리지: 무조건 클라우드 플레어사의 r2를 쓸것(1g-0.015, 입력 백만 4.5,출력 백만 0.36)
-장점: 가격이 싸고, 클플은 알다시피 cdn기업. 어차피 웹페이지보다
그 안에 들어가있는게 더 무거운 편이므로 클플이 유리
-단점: 멀티 클라우드를 쓰도록 상부를 설득해보는게 힘듦
(기술자를 믿어주라고ㅜㅜ)
-s3가격: (1g-0.023~0.004, 입력 백만 5.0,출력 백만 0.4, 전송비용-0.09)
-oci가격: (1g-0.0255~0.01, 입력출력 백만 0.34, 전송비용-0.07)

profile
게임 개발 겸 인공지능 개발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