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형은 숫자형(int, float, complex), 불리언(bool), 문자열(str), 리스트(list), 튜플(tuple), 집합(set), 딕셔너리(dict) 등이 있다.
💡 파이썬에서 자료형을 확인하려면 type()
함수를 이용하면 된다.
int: integer 즉 정수의 약자이다. 하지만 수학에서 말하는 정수와는 개념이 조금 다른데 파이썬에서 int는 소수점 이하의 정보가 없는 숫자를 말한다.
Oni = 1
print(type(Oni))
>>><class 'int'>
Oni = 1.0
print(type(Oni))
>>><class 'float'>
float: 3.14(지수형 표현)
complex: 3+4j(실수부와 허수부를 구분)
Boolean의 축약어이며
True 와 False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T, F는 대문자로 작성해한다.)
Oni = 3 > 1
print(Oni)
print(type(Oni))
>>>True
>>><class 'bool'>
순서 ⭕️, 중복 ⭕️, 변경 ❌
기본적으로 '',""로 감싼다.
여러 문장을 입력하기 위해서 ''' ''',""" """를 사용하면 편리하다.
Oni = "오니"
print(type(Oni))
>>><class 'str'>
Oni = '''
안녕하세요!!
str에 대하여 알아보고 있는데
따옴표 3개를 이용하면 쉽게 긴 글을
적성할 수 있습니다.!!
'''
print(Oni)
>>>안녕하세요!!
str에 대하여 알아보고 있는데
따옴표 3개를 이용하면 쉽게 긴 글을
적성할 수 있습니다.!!
순서 ⭕️, 중복 ⭕️, 변경 ⭕️
[ ] 대괄호를 사용하여 여러 자료형을 담을 수 있다.
Oni = [2, '오니', 200, '오리', '꽥꽥']
print(type(Oni))
>>><class 'list'>
순서 ⭕️, 중복 ⭕️, 변경 ❌
( ) 소괄호를 사용하여 여러 자료형을 담을 수 있다.
리스트와 거의 동일하나 변경이 불가능하다.
처리 속도가 빨라서 파이썬 내부적으로 자주 사용된다.
Oni = (2, '오니', 200, '오리', '꽥꽥')
print(type(Oni))
>>><class 'tuple'>
순서 ❌, 중복 ❌, 변경 ⭕️
{ } 중괄호를 사용한다.
수학에서 말하는 집합과 유사하다.
Oni = {2, '오니', 200, '오리', '꽥꽥'}
print(type(Oni))
>>><class 'set'>
교집합
Oni = {2, '오니', 200} Woi = {'오리', '꽥꽥', '오니'} print(Oni & Woi) >>{'오니'}
합집합
Oni = {2, '오니', 200} Woi = {'오리', '꽥꽥', '오니'} print(Oni | Woi) >>{'꽥꽥', '오니', 2, 200, '오리'}
값이 중복 될 수 없어서 '오니' 값은 한번만 나온다.
차집합
Oni = {2, '오니', 200} Woi = {'오리', '꽥꽥', '오니'} print(Oni - Woi) >>{200, 2}
순서 ❌, 중복 ❌, 변경 ⭕️
set의 일종으로 key : value 형태로 구성된다.
키는 중복될수 없지만 값은 중복가능하다.
key와 value를 적고 , 를 꼭 기입해야한다.
Oni = {
'key1': 'value1',
'key2': 'value2',
'key3': 'value3',
'key4': 'value4'
}
print(type(Oni))
>>><class 'dict'>
.keys() 를 이용해 key를 불러올 수 있다.
print(Oni.keys()) >>dict_keys(['key1', 'key2', 'key3', 'key4'])
.values() 를 이용해 value을 불러올 수 있다.
print(Oni.values()) >>dict_values(['value1', 'value2', 'value3', 'value4'])
.items() 를 이용해 key와 value를 불러올 수 있다.
print(Oni.items()) >>dict_items([('key1', 'value1'), ('key2', 'value2'), ('key3', 'value3'), ('key4', 'value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