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oller 개발 시 url로 전달 받는 방식이 익숙해져서 @RequestParam을 많이 쓰곤 했는데 로그인 시 Form에서 Body에서 전달하는 방식으로 통신을 할 때는 RequestBody을 사용하라고 하는데 어떨 때 써야 적제적소 인지 궁금해서 검색
RequestBody, RequestParam 어노테이션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String 으로 전달되어 전달된 데이터를 사용하기에는 불편함이 있다.
@RequestBody 로 데이터를 받을 때는 메서드의 변수명이 상관이 없었지만, @RequestParam 으로 데이터를 받을때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이름으로 메서드의 변수명을 설정해주어야 한다. -> 해당 변수에 알맞게 들어와서 데이터 쓰기가 편하다
{name : "jun", age : "13} 이라는 데이터가 Json의 형태로 전송
파라미터를 JSON형식으로 받을 경우 RequestBody를 사용,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받아야 할 데이터를 신경쓰지 말고 HTTP 규약에 따라서 GET을 써야 할 경우엔 RequestParam, POST를 써야 할 경우 RequestBody로 받으면 된다. 즉 GET인지 POST인지 받아야 할 데이터와 HTTP 규약을 신경 쓰면서 정하면 해당 Request는 신경 쓸 필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