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DL : 데이터 구조 정의
create, alter, drop, truncate
DML: 데이터베이스에서 사용자와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함
SELECT
INSERST
DELETE
UPDATE
[조건연산자]
<> > < >= <=
NOT AND OR
대표 문자를 통해 지정된 속성의 값이 문자 패턴과 일치하는 튜플을 검색
DROP: 스키마 도메인 뷰 인덱스 삭제
DELETE :튜플 삭제
DCL: 데이터 보안 부결성 회복을 정의하는데 정의함
GRANT REVOKE COMMIT ROLLBACK SAVEPOINT
COMMIT : 데이터베이스에서 하나의 논리적인 수행하는 일련의 연산집합
SAVEPOINT :트렌젝션 안에서 ROLLBACK 할 위치 저장점을 지정
<서브쿼리> subquery
sql문 안에 포함된 또 하나의 sql문
서브쿼리 : 한 쿼리 내에 포함된 또 하나의 쿼리
• GROUP BY 절을 제외하고 모든 부분에 사용 가능
• 서브쿼리는 반드시 괄호 안에 포함되어야 함
https://easyitwanner.tistory.com/274
- exists 연산자: 값이 있으면 TRUE 없으면 FALSE 반환함
트랜잭션> : 원자성 일관성 독립성 연관성
하나의 업무에 사용되는 다수의 query는 모두 성공하거나 모두 실패해야한다는 뜻.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함.
START TRANSACTION; -- 트랜잭션 시작
select * from members; -- 초기 상태 보여줌
.
.
.
.
select * from members;
출처: https://inpa.tistory.com/entry/MYSQL-📚-트랜잭션Transaction-이란-💯-정리#트랜잭션_특징 [Inpa Dev 👨💻:티스토리]
<조인>
select
from
inner join
on : 조인키. 다른 명칭 칼럼 가능
using (칼럼): 조인키. 같은 명 칼럼만.